진짜 복지의 시작은 ‘우리 동네’로부터

진짜 복지의 시작은 ‘우리 동네’로부터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15-11-06 23:00
업데이트 2015-11-06 23: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복지에서 동네복지로/전병관 지음/우물이 있는 집/248쪽/1만 3000원

요즘 동네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동네에 주목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오랫동안 잊혀져 있던 동네를 재발견하고 동네 복지의 필요성에 주목한다.

이미지 확대
동네에는 ‘나눔 DNA’가 있다. 1991년 충남 아산에서 사회복지 공무원으로 첫 공직 생활을 시작해 현재는 온양 3동 주민센터 동장으로 재직하고 있는 저자는 “서로의 사생활을 존중하면서도 서로 필요한 것들을 나누는 문화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믿기 때문에 그것을 복원하면 나눔 공동체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것이고, 이것이 동네 복지를 실현하는 기초가 된다”고 주장한다.

동네는 기본적으로 주민과 공간의 두 요소로 형성된다. 이곳에서 주민들은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게 된다. 책은 수천 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동네에 나름의 ‘항상성을 갖춘 사회 시스템’이 있음을 증명한다. 복지를 더이상 국가 재정에 의존하지 말고 주민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적극적인 복지로 전환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렇다면 동네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할까. 가장 먼저 소통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동장은 절대로 관리자의 입장에 서면 안 되고 주민들이 주체성을 갖고 참여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동네 공공시설을 꼼꼼이 살펴보고 동네 사람들과의 소통 창구인 다양한 모임도 파악해야 한다. 책은 현장을 누비는 통장, 음식 봉사를 하는 부녀회장, 112 민간순찰대의 활약상은 물론 전국에서 모범적으로 동네 복지를 실현하고 있는 지역의 사례도 소개한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5-11-07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