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장 임기는 유한… 조직 도전은 무한”

“행장 임기는 유한… 조직 도전은 무한”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5-11-26 23:06
업데이트 2015-11-27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용로씨 회고록 ‘리더의 자리’ 출간

“행장의 임기는 유한해도 조직의 도전은 무한합니다.”

이미지 확대
윤용로 법무법인 세종 고문
윤용로 법무법인 세종 고문
경제관료로 출발해 기업은행장·외환은행장을 지낸 윤용로(60) 법무법인 세종 고문의 얘기다. 그가 민간 조직의 리더로 보낸 이야기를 담아 ‘리더의 자리’(티핑포인트 펴냄)라는 책을 냈다. 주로 기업은행을 이끌었던 3년의 이야기를 담았다.

윤 전 행장은 26일 “외환은행은 (행장을) 그만둔 지 얼마 안 돼 조심스럽다”면서 30년 공직생활과 3년의 민간 리더는 참 많이 달랐다고 지나간 시간을 끌어냈다.

가장 먼저 맞닥뜨린 것은 확연히 다른 조직 문화였다. “공무원은 국익 추구를 위해서는 장관, 차관에게도 거침없이 반대 의견을 냅니다. 물론 신분이 보장된다는 ‘믿는 구석’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그런데 사기업은 이윤 극대화를 위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더라구요.”

양쪽 모두 장점이 있다고 생각한 그는 공무원 조직의 장점을 기업은행에 접목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틈틈이 은행 점포를 방문해 직원들을 격려하고 회의 형식을 바꿔 다양한 의견이 반영되도록 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기업은행이 ‘남다르게’ 대처할 수 있었던 데는 이런 조직 문화 개선도 작용했다. 윤 전 행장은 “위기가 오면 몸을 사리는 은행들 때문에 경쟁력이 있는데도 기업들이 줄도산하는 게 너무 안타까워” 정부를 설득해 1조 3000억원을 증자했다고 한다. 실제로 2008년부터 2010년 말까지 은행 중소기업 대출 순증액의 90%를 기업은행이 담당했다.

이렇듯 책에는 2007년 말 예기치 못했던 인사 발령으로 기업은행장으로 취임한 순간부터 금융위기를 극복하고 조직의 변화와 발전을 이끌어낸 과정이 빼곡하게 담겼다.

윤 전 행장은 “1만명이 넘는 직원들과 고객들을 책임져야 하는 거대한 조직에서 짧은 임기 동안 할 수 있는 일을 정함에 있어 ‘계속 기업’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뒀다”고 말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5-11-27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