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 CG 대신 감동 강조한 이유

‘해운대’ CG 대신 감동 강조한 이유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15-11-27 22:54
업데이트 2015-11-28 0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화 마케팅의 모든 것/한순호 지음/루비박스/256쪽/1만 2900원

이미지 확대
2009년 한국 최초의 대형 재난 영화로 기대를 모았던 ‘해운대’. 거대한 쓰나미가 부산 해운대를 덮치는 장면을 담은 티저 예고편이 공개됐을 때 반응이 그리 나쁘지 않았다. 당시 우리 컴퓨터그래픽(CG) 기술 수준을 고려할 때 그 정도가 어디냐는 것이다. 하지만 곧 할리우드 재난 영화 ‘2012’의 예고편이 공개되자 분위기가 급변했다. 히말라야산맥을 삼킬 것 같은 해일에 견주면 ‘해운대’는 애들 장난에 불과할 정도로 느껴졌기 때문이다. 스케일과 특수 효과를 앞세우던 ‘해운대’의 배급사는 인간의 용기와 감동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마케팅 전략을 전면 수정했다. 그 결과 ‘해운대’는 1145만명을 끌어모았고 ‘2012’는 546만명을 동원하는 데 그쳤다. 만약 해운대의 마케팅 전략에 변함이 없었다면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워너브러더스 코리아에서 20여년간 ‘해리포터’ ‘다크나이트’ ‘인셉션’ 등 250편이 넘는 작품을 마케팅했던 저자는 요즘처럼 영화 시장이 ‘시네마 지옥’이 된 상황에서는 아무리 잘 만든 작품이라도 마케팅 없이 살아남을 수 없다고 단언한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개봉한 영화는 줄잡아 1095편. 한 주에만 무려 21편이 개봉했다. 그나마 흥행 좀 했다고 어깨에 힘줄 수 있는 100만 관객 작품은 전체의 5%에도 미치지 못하는 49편에 불과했다. 국민 1인당 연간 4.17편의 영화를 본다고 하지만 개봉 흔적도 제대로 남기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한 것이다. 일반 관객이라도 이 책을 통해 마케팅 포인트를 이해하고 영화를 본다면 꽤 흥미로울 듯하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5-11-28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