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미국의 현지 멀티기지”

“한국은 미국의 현지 멀티기지”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8-05-24 17:36
업데이트 2018-05-24 17: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일부 이성원 사무관이 쓴 ‘쇼 미 더 스타크래프트’ 화제

PC게임 ‘스타크래프트’에서 테란 종족의 비행유닛 ‘레이스’ 5기와 상대방 레이스 3기가 붙으면 어떻게 될까. 단순 셈식으로는 우리 측 레이스 2기만 남을 것 같지만, 생각과 달리 4기가 남는다. 여기에는 ‘란체스터 제2법칙’이라는 군사 원리가 숨어 있다. 두 세력 간 전투 후에 살아남는 전력은 각 세력의 단순 차가 아니라 루트 제곱의 차라는 내용이다.
이미지 확대
이성원 사무관
이성원 사무관
30대 사무관이 국민 게임 스타크래프트로 군사·전략, 경제·경영, 정치·외교 현안을 풀어낸 신간을 내 화제다. 주인공은 현재 통일부에서 국제협력 업무를 담당하는 이성원(31) 사무관. 저자는 신간 ‘쇼 미 더 스타크래프트’(동아시아)를 통해 손자병법에서 최신 핵무기 전략까지 동서고금을 아우르는 군사전략과 게임 속에 숨은 경제·경영 원리들을 알기 쉽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한반도에 관해 “미국 입장에서 한반도는 유라시아 대륙에 발붙일 수 있는 유일한 땅으로,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긴 보급로를 만회할 수 있는 현지 멀티 기지”라는 식이다.
이미지 확대
북한의 핵무기에 관해서도 “핵무기 그 자체는 무기가 아니다. 핵무기를 갖고 있다는 사실이 무기”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경제개혁 지연과 맞물린 내수 감소, 수출 둔화, 저출산과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으로 저성장 늪에 빠진 경제 문제와 관련해 “이 모든 숙제를 일거에 해결할 해답은 통일”이라는 식의 ‘스타크래프트 통일론’도 재밌다.

이 사무관은 2007년 당시 스타크래프트 ‘본좌’로 불리는 마재윤 선수와 신예 김택용 선수의 경기를 보며 책을 쓰기로 했다. 당시 김 선수가 승리할 확률이 고작 2.67%에 불과했지만, 이 사무관은 두 선수의 종족 선택과 전투 스타일을 조합하고 김 선수의 승리를 점쳤다. 실제로 경기에서 김 선수는 마 선수의 허를 찌르며 3판 내리 승리했다. 저자는 “어렵게 공부했던 군사·전략, 경제·경영, 정치·외교 현안을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으로 쉽게 풀어 주고 싶었다”면서 “어려운 개념들이지만 게임 즐기듯 책을 즐겼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8-05-25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