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 앞둔 아버지와 ‘관’ 만들기… 미리 준비하며 죽음과 화해하기

이별 앞둔 아버지와 ‘관’ 만들기… 미리 준비하며 죽음과 화해하기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03-26 17:28
업데이트 2020-03-27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버지와 함께 관을 만들고 싶어요” 사랑하는 이에게 배운 최선 다해 살기

이미지 확대
영혼의 집짓기/데이비드 기펄스 지음·서창렬 옮김/다산책방/368쪽/1만 6000원

미국 오하이오 한 지역지에서 기자로 일하는 데이비드 기펄스는 어느 날 관 판매 광고를 보고 ‘직접 만들어 보면 어떨까?’ 생각한다. 그리고 아버지에게 부탁한다. “제가 죽으면 몸을 누일 관을 아버지와 함께 만들고 싶어요.”

여든이 가까운 아버지는 아들의 제안을 흔쾌히 받아들이고, 부자는 작업실에서 함께 관을 만든다. 그러는 동안 어머니가 암으로 돌아가시고, 여기에 죽마고우인 친구 존도 암으로 세상을 뜬다. 아버지 역시 암이 폐로 전이하면서 죽음의 문턱에 이른다.

저자는 관을 만들면 죽음을 좀더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그건 오만한 생각이었다. 어머니가 너무나 고통스러운 나머지 죽음이 찾아오길 기다렸다는 사실을 알고는 걷잡을 수 없는 슬픔에 휩싸인다. 그러나 아버지는 달랐다. 수집병이 있었던 어머니가 남긴 옷가지와 사진집, 온갖 물건들을 정리하고 처리한다. 상실감과 외로움에서 벗어나 그 어느 때보다 분주하게 살아간다. 그리고 여든둘 나이에 세 번째 방사선 치료를 받으면서도 남은 인생을 씩씩하게 맞이한다.

책은 저자가 아버지와 3년 동안 관을 만드는 과정에서 겪은 어머니와 친구의 죽음, 그리고 책 출간 이후 아버지의 죽음까지 저자의 심경을 꼼꼼히 기록한 에세이다.

저자는 누구보다 건강했던 친구의 투병을 지켜보며 자신에게도 언젠간 찾아올 죽음을 준비하고, 애정 넘친 어머니를 통해 지나간 과거의 아름다움을 찾아낸다. 그리고 죽음 앞에서도 당당한 아버지를 통해 남은 삶에 최선을 다하는 방법을 익힌다.

어린 시절과 현재를 오가며 풀어낸 각종 경험담에 관한 세밀한 묘사가 감탄을 자아낸다. 유머 가득한 특유의 문체로 가볍게, 죽음을 맞은 이들에 관해서는 때론 무겁게 풀어내는 등 강약 조절도 탁월하다.

군대에서 공병으로 지내고 평생에 걸쳐 자신의 작업장을 일군 목공 고수 아버지와 함께 목공 초보인 저자가 나무를 함께 사러 다니고 목공 공구를 사용해 관을 만드는 과정도 술술 읽힌다. 나이 든 부모를 둔 중년 남성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03-27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