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들의 통계’에 지워진 세계의 절반… ‘보이지 않는 여자들’

‘남성들의 통계’에 지워진 세계의 절반… ‘보이지 않는 여자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0-07-16 14:07
업데이트 2020-07-16 14: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캐럴라인 크리아도 페레스 지음/황가한 옮김/웅진지식하우스/464쪽/1만 8500원

보이지 않는 여자들
보이지 않는 여자들
2015년 한 조사에 따르면 인도 뭄바이 빈민가에 사는 여성의 12.5%는 밤에 실외에서 용변을 본다. 집에서 공중화장실까지 평균 거리 58m를 걸어가는 게 안전하지 않아서다. 2016년 연구에선 야외에서 용변을 보는 인도 여자가 성폭행 당할 확률이 자기 집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자의 2배에 달했다. 급기야 뭄바이 고등법원은 간선도로 곳곳에 깨끗한 여성화장실을 만들라는 명령을 지자체에 내렸다. 하지만 지방정부는 화장실 건설을 취소했고, 그 만큼의 ‘예산 절감’ 효과도 거뒀다.

그런데 미 예일대 연구에 따르면 이는 ‘허위 절감’이었다. 이 대학 연구진이 개발한 ‘성폭행당할 위험과 위생 시설의 수, 여자가 화장실까지 걸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수학모형을 남아프카공화국의 카옐릿샤 시에 적용해 봤다. 매년 635건의 성폭행이 발생해 4000만 달러(약 470억원)의 비용이 발생하던 이 도시에 1200만 달러(약 140억원)을 들여 화장실 수를 1만 1300개로 늘리면 성폭행이 약 30%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감소한 사회적 비용이 화장실 설치 비용을 상쇄하고도 남아 500만 달러의 ‘차익’이 날 것으로 예상됐다.

더 큰 건 부수적인 이익이다. 여자들이 실외 용변으로 골반염 등 수많은 감염과 질병에 걸릴 위험이 현저히 낮아진 것이다. 이 질병 중 일부는 해마다 인도에서 수백만명의 여자와 아이들의 목숨을 빼앗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런데도 미국의 공중화장실 폐쇄는 50년 이상 지속되고 있고, 영국에선 50% 정도가 폐쇄되거나 술집으로 바뀌었다. 왜 이런 정책적 오류들이 생기게 됐을까. 새책 ‘보이지 않는 여자들’은 진화에 의해 동종을 상대로 갖게된 폭력성이 포유류 평균의 6배(2016년 디 인디펜던트 지)에 이른다는 인간, 특히 전 세계 살인자의 96%를 차지하는 남자(2013년 UN 통계)들이 정책 결정의 중심에 있는 동안 여성은 철저히 배제됐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보이지 않는 여자들’은 남성을 위해, 남성에 의해 설계된 이 세계가 어떻게 여성을 배제하고 있는지 ‘증명’한 책이다. 이상과 당위를 앞세우는 여느 페미니즘 책에 비해 매우 통계적이고 현실적이다. 남자를 인간의 디폴트값(사용자의 개입없이 자동 할당되는 값)으로 여기는 사고방식 때문에 발생한 젠더 데이터 공백은 여자들을 가난하게 만들고 아프게 만들고 심지어 죽이기까지 한다. 인도 뭄바이의 화장실 사례는 책에 등장하는 수없이 많은 사례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책은 아주 꼼꼼하고, 치밀하고, 광범위하면서도 까탈스럽다. 대체 이런 걸 어디서 어떻게 구했을까 궁금해지는 방대한 자료와 사례를 바탕으로 노동, 의료, 정치 등 16가지 영역에 걸쳐 여성에게 불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실체를 낱낱이 밝혀낸다. 무엇보다 책 맨 앞에 적어둔 저자의 말이 귀에 쏙 들어온다. “끈질긴 여자들에게. 앞으로도 계속 더럽게 까탈스러운 사람으로 남아주길.” 변화의 길은 여전히 멀고, 또 여전히 난관 투성이인 거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