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식물 철학의 새로운 만남

페미니즘·식물 철학의 새로운 만남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0-08-27 17:18
업데이트 2020-08-28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식물의 사유
루스 이리가레·마이클 마더 지음/이명호·김지은 옮김
알렙/360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페미니즘 철학자인 루스 이리가레와 ‘식물 철학’을 연구하는 마이클 마더가 나눈 편지를 엮은 책이다. 16개 주제에 대해 서로의 생각을 교환한 것이 책의 뼈대를 이룬다. 가장 궁금한 건 페미니즘 철학과 식물 철학이 어느 지점에서 교집합을 이룰 수 있느냐는 거다. 여성과 남성은 각기 다른 성적 존재이며, 자기 안의 자연의 리듬에 가장 잘 어울리는 문화 질서를 만들고 향유할 성적 권리를 지닌다는 것이 페미니즘의 요체일 것이다. 저자들은 이 페미니즘의 원리와 식물성이 서로 공명한다고 본다.

이리가레는 서문에서 “우리가 책을 함께 쓰게 된 것은 자연과 생명이 처한 현 상황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밝힌다. 그런데 왜 하필 식물이 대안 모색의 핵심으로 간주됐을까. 그동안 인간과 동물에 비해 식물에 대한 사유는 부족했다. 식물은 원자재 정도로 치부됐을 뿐, 인간이 그 일부를 이루는 생명의 토대로 이해되지 못했다. 그러니 식물성과 연대하는 건 곧 생명의 근원에 대한 사유를 길어 올리는 것과 같다는 게 저자들의 생각이다.

저자들의 공통된 관심은 하이데거를 경유해 초기 그리스 철학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하이데거가 그리스 철학에서 읽어낸 ‘퓌시스’(phusis·자연)는 죽어 고정된 물체가 아니라 ‘스스로 자라고 변화하는 물질’이다. 이런 속성을 가장 잘 보여 주는 존재는 ‘퓌톤’(phuton·식물)이다. 저자들은 이동과 변화가 불가능한 존재로 간주됐던 식물에게서 퓌시스를 발견해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새롭게 읽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자들이 말하려는 건 결국 ‘인간 되기’란 자신에게 주어진 자연적 속성을 문화적으로 키워 내는 것이지, 자연과의 분리나 단절이 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 여겨진다. 다만 식물로부터 자연과 더불어 성장하는 존재 양식과 자세를 배우자는 건데, 이를 설명하는 방식이 이렇게 어려워야 할까 싶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20-08-28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