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판매 내역’ 클릭하면 다 나오는데… 정작 저자는 못 보는 ‘반쪽 시스템’

‘책 판매 내역’ 클릭하면 다 나오는데… 정작 저자는 못 보는 ‘반쪽 시스템’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9-29 20:08
수정 2021-09-30 01: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출판유통통합전산망 개통에도 논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도서 정보를 한곳에 통합한 출판유통통합전산망(bnk.kpipa.or.kr)을 29일 정식 개통했다. 출판사가 도서 유통과 판매 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이다. 그러나 저자들은 자신의 책이 얼마나 팔렸는지 확인하려면 여전히 출판사의 허락을 받아야 해 45억원을 들인 시스템이 반쪽짜리에 그쳤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동안 도서 유통은 비효율적이고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뒤따랐다. 도서 세부 정보를 뜻하는 ‘메타 데이터’가 표준화돼 있지 않은 데다가 판매 정보를 유통 주체별로 따로 관리한 탓이다. 출판사가 서점에 도서 정보를 이메일로 보내면 서점이 자사 홈페이지 등에 입력하면서 중복도 발생해 재고 파악도 수월하지 않았다.

통합전산망 구축에 따라 출판사가 메타 데이터를 입력하면 연계된 서점과 유통사가 30분 이내에 정보를 자동으로 공유한다. 대형 서점은 물론 지역 서점 대부분이 사용 중인 공급망관리시스템(SCM)에도 연계해 책이 팔리면 통합전산망으로 내역이 자동 전송된다. 출판사가 한 번에 여러 서점 판매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자들은 여전히 출판사가 이메일로 판매량을 알려 줘야 자신의 도서 판매량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5월 장강명 작가가 SF 출판사 아작이 인세를 누락했다고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나서면서 논란이 불거졌지만, 이를 해결하지 못해 ‘인세 갈등’ 불씨가 여전히 남았다.

서점들이 제각각 많이 팔린 도서 순위를 공개하는 ‘베스트셀러’ 목록도 투명해질 것이란 애초 기대와 달리 통합전산망에는 기간별로 가장 많이 팔린 책 50권만 순위 없이 가나다순으로 공개됐다. 출판사들이 동참을 꺼려 큰돈을 들인 시스템이 제 역할을 못하게 됐다는 지적도 있다. 박수찬 출판진흥원 사무처장은 “출판사들의 가입이 늘어나고 데이터가 축적되면 이런 문제도 자연스레 해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범 운영 동안 1700곳의 출판사가 시스템에 가입했다. 출판진흥원은 가입 출판사를 연내 2500곳까지 늘릴 계획이다.

2021-09-3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