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경판 역사·문화사적 의미는

대장경판 역사·문화사적 의미는

김승훈 기자
입력 2015-11-24 22:32
업데이트 2015-11-24 2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화재청 30일 학술대회 개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자 국보인 경남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의 역사적, 문화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학술 행사가 열린다.

문화재청은 불교문화재연구소와 함께 오는 30일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국보 제32호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그 가치와 의미’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해인사 대장경판은 고려 고종 19년(1232) 몽골 침입으로 초조대장경이 불타 사라지자 1237∼1248년 만들어졌으며 8만 4000법문을 실었다 해서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으로도 불린다.

이번 학술대회는 해인사 대장경판 중·장기 종합 보존과 관리 계획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발표와 토론 순으로 진행된다. 기조 발표는 대장경판 전문연구자인 박상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장이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의 지정범위’를 주제로 한다. 이어 최영호 동아대 교수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에 포함된 중복경판 및 보각경판(補刻經板)의 역사·문화적 성격’을 설명하고, 김성수 청주대 교수는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의 기능 및 수량 재지정 문제’에 대해 고찰한다. 종합 토론에선 문화재위원인 흥선 스님을 비롯해 팔만대장경연구원장인 경암 스님, 박용진 고려대장경연구소 박사, 유부현 대진대 교수, 최연식 동국대 교수, 최연주 동의대 교수 등이 ‘대장경판의 효율적 보존과 관리 방안을 주제로 의견을 나눈다.

문화재청은 “팔만대장경은 고려시대 이후 새겨진 경판도 일부 포함돼 있는데 이를 대장경에 포함시킬지 여부에 대한 견해가 학자들마다 다르다”면서 “이번 학술대회가 팔만대장경의 문화재 지정 수량 조정을 위한 학술적 기반을 마련하는 장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11-25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