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가는 공부머리 기르는 방법은?

SKY가는 공부머리 기르는 방법은?

강경민 기자
입력 2015-11-19 08:30
업데이트 2015-11-19 08: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에는 물수능, 올해는 불수능 뉴스에 학부모와 학생들은 혼돈스럽다.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다. 그러나 물수능이나 불수능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실력을 100% 발휘하는 학생들이 있다. 이런 학생들의 공통점은 ‘공부머리’가 있다는 것이다.

그 동안 우리는 오직 학습 측면에만 관심을 두고 해결책을 찾으려고 했다. 그래서 수많은 공부법, 다양한 암기법, 효과적인 노트 필기법 들이 쏟아져 나오고, 학부모들은 공부 잘한다는 학생들이 가는 학원을 수소문하고, 그들이 쓰는 문제집을 따라 사고, 유명한 과외선생님을 찾곤 했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전교 1등이 다니는 학원을 다니고, 그들이 사용하는 문제집을 사고 그들만큼 긴 시간 책상에 앉아 있는데 내 자녀의 성적은 그대로인 경우가 많다. 아니, 오히려 한두 달 희망을 가지고 열심히 공부하다가 성적이 점점 떨어져 가면, 자녀는 처음 가졌던 의욕마저 잃고 자기 자신에게 실망하고 지쳐가곤 한다. 학부모도 학생도 머리가 나쁘다면서 IQ를 탓하기도 한다.

같은 학교, 같은 학원, 같은 선생님, 같은 교재로도 다른 결과가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흔히 접하는 다른 예를 통해 ‘공부 방법’을 생각해 보면 답은 오히려 쉽게 찾을 수 있다. 똑같은 디자인의 옷을 입어도 어떤 사람은 잘 어울리고 맵시 나는 반면, 어떤 사람이 입었을 때는 영 아니라고 느낄 때가 있다. 특히, 모델이 입었을 때는 그 결과가 남다르다. 그건 바로 모델은 옷을 잘 소화하기 위해 끊임없이 체형을 관리하고, 음식을 조절하고, 걸음걸이를 교정하기 때문이다.

공부도 마찬가지다. 공부를 하는 주체인 학생을 바꿔야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어떤 모습으로 바뀌어야 할까? 학생 스스로 공부하는 힘(공부머리)을 갖추어야 한다. 학생 스스로 공부하는 힘은 IQ와 달라서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 얼마든지 키워줄 수 있다. 물론 자녀의 연령에 적합한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년간 수능 만점자를 배출한 학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스스로 공부하는 힘을 중요시한 공부법을 유지한 학교가 만점자를 많이 배출한 것으로 나타난다. 선천적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힘을 갖고 있는 학생들은 1000명에 1명 정도다. 그러나 SKY 입학 정원은 수능 응시생 기준 1.69%(2016학년 수능기준)정도. 결국 1.69%의 학생 중에서 선천적으로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힘을 갖춘 0.1% 학생을 제외한 나머지 1.59%의 학생은 노력에 의해 스스로 공부하는 힘(공부머리)을 갖게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공부머리가 있는 학생들은 애꿎은 학교타령, 학원타령, 동네타령을 하지 않는다. 주어진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며 학습하기 적합하도록 자신의 공부 방법을 끊임없이 교정한다. 그럴 의지도 있고 그럴 능력도 있고 그럴 열정도 있다.

우리는 한계 상황에 다다랐을 때 흔히 투자와 노력을 돌파구로 선택한다. 그러나 의외로 ‘소통’이 정답인 경우가 많다. 특히 사람이 개입된 문제는 더욱 그렇다.

공부도 마찬가지다. 공부와 학생간의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학생이 스스로 공부하는 힘(공부머리)을 갖고 있다면, 공부와 학생간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즉 공부를 효율적으로 해내게 되는 것이다. 내 자녀의 공부머리를 키워주지 않는 한, 대치동으로 이사하고, 유명 학원을 다니고, 족집게 과외 선생님을 찾는 것도 별로 소용이 없다.

스스로 공부하는 힘, 즉 ‘공부머리’를 갖게 되면 물수능이든 불수능이든 관계없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움말 ‘공부머리 초등편’ 송진호 신은주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