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리뷰] ‘맨 오브 라만차’

[뮤지컬 리뷰] ‘맨 오브 라만차’

입력 2010-02-05 00:00
업데이트 2010-02-0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장 미친 짓은 현실에 안주하고 꿈 포기하는 것” 비장한 돈키호테 돌아오다

‘맨 오브 라만차’는 한국에서 인기를 끌 만한 요소를 두루 갖춘 뮤지컬은 아니다. 히트 뮤지컬 공식에 해당하는 화려한 스펙터클이 등장하지도 않고, ‘선남선녀’의 애절한 러브스토리도 눈에 띄지 않는다. 세르반테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만큼 내용이 어렵고 딱딱한 구석도 많다.

이미지 확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지난 2005년 국내에서 초연된 이래 2007, 2008, 2010년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앙코르 공연되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수차례 공연을 재관람하는 비율이 높을 만큼 두터운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고, 지난해는 ‘더 뮤지컬 어워즈’ 최우수 작품상 등 5개 부문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 작품의 가장 큰 매력은 주인공 돈키호테에 대한 ‘공감대’에 있다. 소설 원작자인 세르반테스와 돈키호테를 동일시시켜 ‘극중극’ 형태로 극을 이끌어간다. 역사 이래 돈키호테에 대한 해석은 무모한 천방지축의 대명사부터 척박한 현실 속에서 꿈을 좇는 이상주의자까지 다양했지만, 이 작품은 후자에 방점이 더 찍혀 있다.

때문에 라만차의 괴상한 노인 알론조가 자신을 정의와 사랑을 위해 싸우는 기사로 착각하는 과정은 우스꽝스럽다기보다 비루한 현실과 싸우는 현대인에게 묘한 동질감을 준다. “가장 미친 짓은 현실에 안주하고 꿈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외치는 그는 더 이상 미치광이 노인이 아닌 ‘슬픈 수염의 기사’ 돈키호테의 모습이다. 돈키호테가 “그 꿈 이룰 수 없어도, 싸움 이길 수 없어도… 정의를 위해 싸우리라, 사랑을 믿고 따르리라”로 시작되는 명곡 ‘이룰 수 없는 꿈’을 부를 때면 객석에도 비장한 긴장감이 감돈다.

돈키호테가 거울의 기사를 통해 초라한 현실을 깨닫고 알론조로 돌아오는 장면에선 여기저기서 탄식이 흘러나온다. 2007년부터 돈키호테 역을 맡은 류정한은 ‘맞춤 옷’을 입은 것처럼 때로는 아이같은 천진함을, 때로는 고집센 노인의 완고함을 자연스럽게 표현한다. 돈키호테에 의해 여관의 창녀에서 돈키호테의 ‘환상 속 레이디’ 둘시네아로 다시 태어난 알돈자 역의 김선영은 격정적인 매력을 선사한다. 15일까지 LG아트센터. 1588-5212.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0-02-05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