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톡톡 인터뷰] 영화 ‘공기인형’ 시사회 배두나

[현장 톡톡 인터뷰] 영화 ‘공기인형’ 시사회 배두나

입력 2010-04-02 00:00
업데이트 2010-04-02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日서 외국인 첫 여주연상 “과분할 정도로 사랑받아”

최근 일본 영화 ‘공기인형’의 시사회가 열린 서울 행당동의 한 극장.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과 주인공 배두나가 함께했다. ‘공기인형’은 어느날 갑자기 사람의 감정을 갖게 된 공기인형 ‘노조미’(배두나)가 우연히 비디오 가게 점원 ‘준이치’(아라타)에게 사랑을 느끼며 생기는 에피소드를 담은 영화다.

이미지 확대
배두나(오른쪽)가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에게 객석을 가리키며 뭔가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배두나(오른쪽)가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에게 객석을 가리키며 뭔가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발한 소재 때문에 다소 가벼울 것 같지만, 철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2009년 칸 국제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에 초청되기도 했고, 배두나는 이 영화로 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일본 아카데미에서 여우 주연상을 거머쥐었다. 과연 이들이 말하는 ‘공기인형’은 무엇일까.

감독이 먼저 입을 연다. 감독은 공기인형이 겪는 세상 속 경험을 통해 우리 사회의 참모습을 담아 내고 싶었다고 했다. “공기인형은 인간이 성욕을 해결하기 위한 대체기구다. 인간을 위해 태어나고, 구닥다리가 되면 사라져 버린다. 우리의 모습도 이런 게 아니었던가.”

그는 특히 로봇이나 마네킹과는 달리 공기인형을 주인공으로 삼은 이유에 주목해 달라고 주문했다. 사실 로봇이나 마네킹이 지능과 감성을 갖게 되는 식으로 의인화한 영화는 많았다. 하지만 공기인형은 이런 부류의 영화와는 선을 긋고 있다는 게 히로카즈 감독의 변. “공기인형은 타인에 의해 직접 입으로 숨을 불어 넣어야 존재 가치가 생긴다. 관계를 통해 생명력을 얻는 거다. 영화는 그 ‘관계’를 말하고 있다.” 배두나도 “공기인형이 갓 태어난 아기가 학습하고 사랑에 빠지고 결국 죽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인생의 축약된 모습을 대변해 준다.”고 거든다.

영화에 대한 설명이 끝나자 서로에 대한 칭찬으로 시사회장 분위기가 사뭇 훈훈해(?)진다. 히로카즈 감독은 “배두나는 감정 표현이 섬세하다. 결코 과장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특히 배두나와의 작업이 무척 흡족했단다. “비록 언어의 장벽은 있었지만 마음이 맞았다. 앞으로도 배두나와 계속 일하고 싶다. 물론 다음엔 ‘인간’ 역할로 캐스팅하겠다.” 관객들이 웃는다.

배두나도 이에 질세라 히로카즈 감독에 대한 존경을 쏟아낸다. “외국인 최초로 일본에서 여우주연상을 탔다. 그 정도로 잘했다고 생각하지 않았는데 너무나 과분한 사랑을 받았다. 모두 감독님 덕분이다.”

물론 쉽지만은 않았다. 배두나도 영화를 찍으며 한·일 간의 문화차이를 경험했단다. 역할의 특성상 노출신이 많은데 촬영 문화가 달랐던 까닭. “보통 누드신이 있으면 한국에서는 필요한 스태프를 제외하고 모두 현장에서 나간다. 하지만 일본은 그렇지 않더라. 너무나 많은 스태프들이 모두 그 자리에 있었다.” 관객들이 다시 한번 웃는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4-02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