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로 간 드라마 스타연출가·원작자 ‘수다톡톡’

무대로 간 드라마 스타연출가·원작자 ‘수다톡톡’

입력 2010-04-09 00:00
업데이트 2010-04-09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모·베토벤 바이러스 연출 이재규 PD “사실 날이 갈수록 힘들어요. 잘못 생각한 게, 원작이 좋으니까 정리가 쉬울 줄 알았죠. 그런데 정말 말 그대로 헤매고 있어요. 내가 이것밖에 안 되나 싶기도 해요. 연극과 TV드라마는 완전히 토대가 다르다는 걸 깜빡한거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노희경 작가 “연극으로 해 보자는 제안은 여러 번 있었어요. 모두 거절했죠. 제게도 의미가 있는 작품이잖아요. 그런데 ‘연극열전’에서 한다기에 좋다고 했고, 연출은 이 PD가 한다 그래서 ‘대박나겠네.’ 한 게 전부예요. 캐스팅 뒤엔 울산에 있는 언니에게 전화했어요. 보러 오라고.”
이미지 확대


지난 7일 서울 대학로의 한 카페 2층. 연극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기자간담회를 끝낸 노희경 작가와 이재규 PD가 직사각형 나무책상 앞에 앉아 있다. 주변에는 6~7명의 기자가 노트북을 펼친 채 둘러싸고 있다. 카페와 나무책상 모두 넓지도 좁지도 않아서, 이들이 도란도란 얘기를 나누기에 적당하다. 정오가 좀 지난 나른한 햇살 아래, 노 작가와 이 PD의 유쾌한 ‘수다 한 판’이 시작됐다.

노희경 작가 내 드라마가 연극으로 만들어지니 가문의 영광이에요. 먼저 대본집으로 출판돼서 팔리는 것도 재미있었거든요. 요즘은 ‘진짜 이러다 희곡 한번 써 봐.’하는 생각도 들어요. 연극으로 만드는 게 무모하다 싶기도 했는데 점점 ‘아, 이게 젊다는 거고 도전한다는 거구나.’ 싶어요.

이재규 PD 크크크. 주책이죠. 사실 날이 갈수록 힘들어요.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같은 연극이 좋아서 시작했거든요. 잘못 생각한 게, 원작이 좋으니까 정리가 쉬울 줄 알았죠. 그런데 정말 말 그대로 헤매고 있어요. 내가 이것밖에 안 되나 싶기도 해요. 연극과 TV드라마는 완전히 토대가 다르다는 걸 깜빡한거죠.

노 작가 엄마가 시어머니 목 조르는 장면, 아빠가 시어머니 가두고 방에다 못질하는 장면 같은 건 살려줬으면 좋겠어요.

이 PD 아, 그거. 당연히 있죠. 명백하고 많은 것을 담은 장면이니까요. 대신에 최대한 담백하게 했어요. 개인적으로는 엄마가 암 판정받은 뒤에 “그까짓 것”이라고 말하고, 그 모습을 나머지 가족이 물끄러미 쳐다보는 장면이 있는데 그게 가장 마음에 들어요. 그리고 원작에다 에필로그 하나 붙였어요. 엄마가 죽은 뒤 남은 가족들의 일상을 한번 보여 주는거요. 이런 거 모르셨죠?

노 작가 대본을 달라고도 안 했잖아. 무대는 배우 몫이지 내꺼가 아니라고 생각해요.

이 PD 연극 제안은 따로 받으신 거죠?

노 작가 연극으로 해 보자는 제안은 여러 번 있었어요. 모두 거절했죠. 제게도 의미가 있는 작품이잖아요. 그런데 ‘연극열전’에서 한다기에 좋다고 했고, 연출은 이 PD가 한다 그래서 ‘대박나겠네.’ 한 게 전부예요. 캐스팅 뒤엔 울산에 있는 언니에게 전화했어요. 보러 오라고.

이 PD 아이고 나 죽겠네…. 사실 캐스팅이 화려해요. 모두 연극하신 분들이고, 정애리, 송옥숙 두 분도 어려운 역을 잘 소화해내 연극상도 받으신 분들이니까요. 그러고 보니 나만 아마추어네요.

노 작가 흐흐흐. 원작자와 연출자만 아마추어야.

이 PD 아마추어이긴 한데, 결과물도 아마추어면 안 되겠죠?

노 작가 사실 드라마 방영 때도 사연이 있었어요. MBC에서 창사특집극 한다는데 엄마 얘기는 지겹다고 아버지 얘기를 쓰래요. 그때만 해도 아버지와 화해 못 했고, 엄마가 돌아가신 지 몇 년 안될 때라 싫다고 했죠. 그런데 MBC에서 다른 작가를 못 구한 거예요. 그러니 엄마 얘기라도 써 봐라 했고, 옳다구나 해서 극본을 보름 만에, 방송 임박해서 다 썼어요. 그런데 드라마 찍을 때 배우들이 너무 많이 울어서 힘들어했는데, 연극은 그렇지 않던가요?

이 PD 아직까지는 괜찮아 보여요. 처음엔 대본 리딩만 하고도 다들 펑펑 울었는데 지금은 잘 견뎌내고 있어요. 막이 오르면 또 모르죠. 그런데 노 작가님하곤 드라마를 같이 못 해 봤네요. 항상 같이 하고 싶은 작가 1번으로 썼다가, 함께할 수 없는 작가 1번으로 지워요. 너무 바쁘셔서…. 귀농하시기 전에 해야 하는데.

노 작가 귀농 뒤에도 가끔은 펜을 들어야죠. 그런데 제가 경력에 비해 너무 많이 써서 지친 면도 있어요. 아버지와 화해한 뒤에 꽃 키우는 취미를 같이 했어요. 그때 화초키우기나 귀농, 이런 생각을 한 거죠.

이 PD 참, 연극에도 그런 장면 하나 넣었어요. 소설에선가 보니까 이사 가면 창문 앞에 민들레꽃을 심는다는 내용이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엄마가 그렇게 한다는 설정을 넣었어요.

노 작가 맞아요. 엄마의 죽기 전 소원이 좋은 집, 큰 집으로 넓혀서 이사 가는 거였으니까. 그런데 표는 좀 팔리나요.

이 PD 전 사재 털어서 샀어요. 예전엔 제가 찍은 작품 남에게 보라고 말하기가 참 어려웠는데 이번엔 전혀 그렇지 않아요. 한번 보고 평가를 해 달라고 하고 싶어요.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4-09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