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망한 춘화 골프공?… 즐겁게 치자고요

민망한 춘화 골프공?… 즐겁게 치자고요

입력 2010-04-09 00:00
업데이트 2010-04-09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춘화를 그려넣은 골프공으로 골프를 치면 사람들이 서로 공을 찾아 차지하려고 아주 난리가 납니다. 골프도 즐겁게 치자는 생각에 공에다 춘화를 그렸지요.”

1990년 미술대학 교수 자리를 버리고 제주도 서귀포로 들어간 이왈종(65)이 14~27일 서울 관훈동 노화랑에서 개인전 ‘제주 생활의 중도’를 연다. ‘생활의 중도’는 그가 한결같이 그려온 주제로 제주도에서 작품 활동을 하면서 ‘제주’가 앞에 덧붙었다.
이미지 확대
이왈종이 골프공에 그려넣은 춘화. 이 공으로 골프를 치면 동반자들이 서로 공을 찾으려 들어 공도 덜 잃어버리고 골프도 즐거워진단다.
이왈종이 골프공에 그려넣은 춘화. 이 공으로 골프를 치면 동반자들이 서로 공을 찾으려 들어 공도 덜 잃어버리고 골프도 즐거워진단다.


그렇다면 중도란 무엇일까. 작가는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집착하고 편협하며 비교하는 마음을 바로잡아야 갈등과 경계가 사라진다는 것이다.

전시에 내놓은 작품 가운데는 두꺼운 장지에 아크릴 물감과 종이로 부조를 만들거나 목재를 조각하여 채색한 평면 작품 외에 향로, 목조, 도자, 조각 등 다양한 미술 장르의 ‘제주 생활의 중도’가 눈에 띈다.

특히 14년 만에 향로를 제작했다는 이왈종은 “사람의 생활 자체가 향불과 같다.”고 말했다.

‘제주 생활의 중도’라고 이름붙여진 향로에도 골프를 하는 모습, 남녀상열지사, 꽃, 새 등 그의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들이 고스란히 새겨져 있다.

춘화를 판금 위에 채색하거나 골프공에 그리고 자그마한 종이 병풍처럼 만드는 등 다양하게 재해석해 온 작가는 “춘화도 생활의 일부분으로 감출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언제부터인가 골프도 작품 속에 자주 등장하기 시작했다. “내가 골프를 치니까 아는 것을 그려야 한다는 생각에 해학적으로 주변의 모습을 반영했다.”는 그는 “골프를 칠 때도 돈내기를 하면 갈등이 생기는 등 인간사 축소판”이라고 해석을 곁들였다.

미술평론가 오광수씨는 “(춘화, 제주생활의 중도 등) 이왈종의 작품 속에 들어가다 보면 어느덧 현실은 저만큼 물러나고 열락의 세계에 자적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고 평했다.

제주에서 20년간 일군 이왈종의 작품 속에서 도시인은 쉽게 접하기 어려운 편안하고 친근한 새로운 세상을 만날 수 있다. (02)732-3558.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04-09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