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의 재난’ 관리 선진국에서 배운다] “서울시 노후 상하수도관 교체보다 광범위한 지반조사 먼저 해야 마땅”

[‘땅의 재난’ 관리 선진국에서 배운다] “서울시 노후 상하수도관 교체보다 광범위한 지반조사 먼저 해야 마땅”

이성원 기자
입력 2015-10-25 23:02
업데이트 2015-10-26 0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국지질 연구소 전문가들 조언

“도시의 설계와 건축에 있어 지질에 대한 정보는 필수입니다. 정부와 건설업자들이 무엇보다 우선해 지질 연구를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지질과 관련한 규제가 지나치게 완화된 데는 이 문제의 중요성을 제대로 알리지 못한 저의 잘못도 큽니다.”

마틴 커쇼 영국 버밍엄대 토목공학과 명예교수는 노팅엄의 한 호텔에서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싱크홀 현상이 잇따르는 것은 지질학자들이 충분히 경고하지 못한 탓”이라고 자책했다. 커쇼 명예교수는 영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영국지질연구소 등에서 40여년간 연구를 해 온 석학이다. “영국과 같은 도시개발과 계획의 전통이 깊은 곳마저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도시 개발 시 지질조사에 대한 의무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조치를 취한 건 잘못된 정책입니다.”

커쇼 명예교수는 자신이 만약 서울에 온다면 “싱크홀이 대거 발견된 곳부터 지질 연구를 충분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질 조사 대상을 점차 확대해 다양한 땅속 지도를 만들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배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땅속 상태를 정확히 알아야 ‘지오 해저드’를 줄일 수 있다는 의미다. 그는 과학자와 정부의 정보 공유와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영국도 마찬가지인데 가장 큰 문제는 지질학자와 정부 간 상호교류와 의사소통이 안 되고 있다는 점”이라면서 “정부가 지질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이를 알리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상하수관 노후화가 싱크홀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한 정부 측 입장에 대해 버네사 뱅크스 영국지질연구소 수문지질학 박사는 “상하수관 노후화는 싱크홀 발생의 원인 중 하나”라고 잘라 말했다. 상하수관에서 물이 샌다고 반드시 그 주변에 싱크홀이 생기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뱅크스 박사 역시 “노후화된 상하수관을 교체하기 전에 선행돼야 하는 건 서울의 광범위한 지반 조사”라면서 “충적층(모래) 등 상하수관에서 물이 샜을 때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 위주로 상하수관을 교체하면 된다”고 말했다. 서울 모든 지역의 오래된 상하수관을 교체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앤드루 패런트 영국지질연구소 지질학 박사는 “지반이 불안정한 지역이라는 사실을 파악했다면 건물을 지을 때 건물 바닥에 단단한 플라스틱 망을 깔아 둔다든지 싱크홀이 발생하더라도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시공법을 달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런던·노팅엄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5-10-26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