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와 길] 각양각색 특화거리 구경오세요

[도시와 길] 각양각색 특화거리 구경오세요

입력 2010-05-03 00:00
업데이트 2010-05-03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화예술·한의약·음식특화·인쇄 거리…

중앙로에는 곁가지 길들이 무지개처럼 펼쳐져 있다. 제각각 다른 색깔의 특화거리들이 중앙로를 떠받치고 살리는 역할을 톡톡히 한다.
이미지 확대
중구청 맞은편으로 쭉 뚫려 있는 문화예술의 거리. 최근 건물들이 리모델링돼 세련된 모습으로 변신했다.
중구청 맞은편으로 쭉 뚫려 있는 문화예술의 거리. 최근 건물들이 리모델링돼 세련된 모습으로 변신했다.


때아닌 봄 한파에 비가 내리던 지난달 28일 오후 중구 은행동 ‘으능정이 문화의 거리’. 쌀쌀한 바람에도 중·고교 학생과 젊은 연인들이 갖가지 색상의 우산을 쓰고 거리를 돌아다녔고, 몇몇 할머니들이 업소를 홍보하는 전단지를 한 무더기 들고 행인들에게 나눠주고 있었다. 명품점과 고급 미용실 등 세련된 가게들이 줄지어 있다. 친구와 함께 거리를 걷던 고교 1년생 김정선(16)양은 “시험이 끝나 충북 옥천에서 놀러왔다.”면서 “옥천에서도 대전 으능정이 거리는 워낙 유명해 친구들도 틈만 나면 영화 등을 보러 나온다.”고 말했다.

중앙로에는 한의약거리, 인쇄거리, 문화예술의 거리, 선화동 음식특화거리 등 다양한 곁가지 거리들이 붙어 있다. 특화거리마다 90여곳에서 많게는 400여곳의 관련 상점들이 자리를 잡고 성업 중이다.

한의약거리에 있는 ‘경동건재한약방’ 직원 류기창(55)씨는 “가게 문을 연 지 30년이 됐는데 특화거리로 지정된 게 영업에 적잖게 도움을 준다. 많이 알려져 외지에서도 손님이 찾는다.”면서 “으능정이에는 젊은이들이, 여기는 노인들이 주로 몰린다.”고 거리 분위기를 전했다.

중구청 앞 문화예술의 거리는 찾는 시민이 늘면서 낡은 건물들이 리모델링돼 산뜻하고 분위기 있는 상점들로 바뀌면서 몰라보게 달라졌다.

특화거리는 1997~98년 사이에 집중 지정됐다. 중구와 동구에서 충남도청 옆에 있던 대전시청이 둔산신도시로 이전하면 구도심이 급격히 침체되는 것을 걱정해서였다.

황광순 중구 도로계장은 “다양한 특화거리들이 활성화되고 2006년 3월 중앙로를 지나는 지하철 1호선이 개통돼 역들이 생기면서 중앙로의 부활조짐이 뚜렷하다.”고 말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0-05-03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