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남북정상회담 일정 합의 후 결렬”

“지난해 남북정상회담 일정 합의 후 결렬”

입력 2010-02-04 00:00
업데이트 2010-02-04 17: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북한이 지난해 10월 비밀 접촉을 통해 정상회담 일정까지 대체로 합의했지만 이후 의제 등을 둘러싼 문제로 결렬됐다고 일본 아사히(朝日)신문이 한국측 관계자들의 발언을 인용해 4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남북한은 지난해 봄부터 중국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 등에서 여러 차례 비밀 접촉을 갖고 핵 문제,북한 식량지원,회담 장소,인도적 문제 등을 조율했다.

 특히 지난해 8월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당시 서울을 방문한 북한의 조문단이 이명박 대통령을 면회하면서 “관계개선이 진전되면 정상 간 회담이 가능하다”고 말하면서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갔다.

 이어 지난해 10월 17,18일 이틀간 임태희 노동장관과 북한의 김양건 조선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 싱가포르에서 회담,2009년 특정일에 정상회담을 갖기로 기본합의가 이뤄졌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그러나 아사히는 “임 장관이 귀국 후 기본합의 내용 가운데 북한의 비핵화를 둘러싼 부분이 애매하고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하는 것이 명문화되지 않았던 점,그리고 북한에 대한 식량지원이 정상회담의 전제로 받아들여지는 표현이 있어서 한국 정부 내에서 문제가 됐다”고 지적했다.

 한국측은 또 이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마치고 평양에서 돌아오는 길에 6.25 전쟁 당시의 포로와 한국인 납치 피해자 10여명을 데리고 돌아올 수 있도록 북한에 요청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와 함께 한국측은 포로와 납치 피해자의 귀환이 실현되면 대규모 식량지원도 가능하다는 의사를 전했지만 북한이 난색을 표하면서 정상회담이 성사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한편,이 신문은 현재 한국 정권의 지지율이 상승 추세에 있지만 6월에 지방선거가 있는 만큼 그 이전에 정상회담이 실현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도쿄=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