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 세종시 수정안 관철 ‘총력전’

친이, 세종시 수정안 관철 ‘총력전’

입력 2010-02-21 00:00
업데이트 2010-02-21 15: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나라당 주류인 친이(친이명박)계는 22일 열리는 의원총회 토론을 계기로 세종시 수정안을 반드시 관철시키겠며 총력전의 각오를 다졌다.

 이를 위해 임해규,정두언,진수희,권택기,정태근 의원 등은 21일 오전 친이계 모임인 ‘함께 내일로’ 운영위 회의를 갖고 수정안 설득을 위한 논리 개발 및 의총 전략을 최종 점검했다.

 또한 임해규,정두언,진수희,정태근 의원 등은 이날 낮 기자들과 오찬을 함께 하며 ‘세종시 수정 여론전’에도 주력했다.

 친이 주류측은 무엇보다 세종시 수정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진정성을 알리고,국가균형발전 및 수도권 과밀해소를 위해서는 수정안이 대안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적극 알리기로 했다.

 또한 당내 갈등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민주적 절차,당헌 규정에 따른 당론 결정이 불가피하며,당론이 정해지면 그 결과에 관계없이 ‘승복’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진수희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통령은 지난해 7월 면담 시 ‘하루에도 몇 번씩 장관들을 만나고 회의하며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을 겪으면서 이건(세종시 원안) 도저히 안되겠다.문제를 알면서 덮는 일은 양심상 할 수 없다’고 말했었다”고 소개했다.

 국정을 맡기 이전과 이후 판단이 달라질 수 있음을 설명함으로써 이 대통령의 세종시 공약 번복의 불가피성을 알리는 동시에 박 전 대표의 ‘국정 미경험’을 우회적으로 겨냥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친이측은 박 전 대표를 비롯한 친박계에 대해 회유와 공세 양면 전략을 구사할 계획이다.

 진 의원은 “수정안을 당론으로 채택한다고 박 전 대표가 언급한 ‘신의와 약속’의 가치가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며 “박 전 대표의 가치는 세종시 논란과정에서 충분히 각인됐다”며 유화 제스처를 취했다.

 반면 정두언 의원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2005년 3월 세종시 당론이 결정됐으나,한달 뒤 한나라당 의원 중 89명이 국민투표 촉구결의안에,57명이 세종시법 폐지 법안에 각각 서명하지 않았느냐”며 “거기에는 친박 의원들도 다수도 포함됐다”며 날을 세웠다.

 정 의원은 “당시 당론 성립 과정이 엉성했던 만큼 ‘당론으로 문제가 있지 않느냐’는 주장은 일리가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한 핵심 의원은 “유정복 의원 등 일부 친박 의원들은 2005년 4월 당시 국민투표 촉구결의안과 세종시법 폐지법안에 서명하지 않았느냐”며 실명을 거론,의총에서의 난타전을 예고했다.

 동시에 친박계가 ‘국회에서의 세종시 수정법안 표결시 부결될 게 뻔하다’는 친박계의 압박과 관련,정태근 의원은 “토론을 통해 당론이 결정되면 이를 국회에서 통과시키도록 하는 게 당원의 당연한 자세”라고 강조했다.

 한편 ‘김무성 절충안’ 등과 관련,친이계는 ‘당내 논의시 수정안 찬반에만 집중하고,국회 논의과정에서 절충안이 다뤄져야 한다’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