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관 선발…외부충원 vs 外試유지 ‘팽팽’

외교관 선발…외부충원 vs 外試유지 ‘팽팽’

입력 2010-02-25 00:00
업데이트 2010-02-25 07: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靑·관계부처 협의중…“내달중 양자택일”

 외교관 선발 개편방식을 둘러싸고 정부 내에서 ‘외부충원론’과 ‘외시(外試)유지론’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외교경쟁력강화위원회가 지난달 외부충원론을 바탕으로 외무고시와 특수대학원(외교아카데미)을 통해 절반씩 외교관을 충원하는 안을 마련한데 대해 청와대가 외시유지안과 함께 종합 검토하라고 지시한데 따른 것으로 외교관 선발방식을 둘러싼 논란이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고위 외교소식통은 25일 “당초 경쟁력강화위원회의 안이 기정사실인 것처럼 크게 부각됐지만 현재 정부 내에서는 위원회의 안과 외무고시를 유지하면서 선발방식을 개선하는 안이 함께 검토되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어느 쪽으로 기울지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 고위관계자도 “당초부터 여러가지 안이 있었으나 최종적으로 두가지 안으로 추려졌으며 이중에서 양자택일될 것”이라며 “최종 결정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경쟁력강화위원회 안은 외교부에 소속된 특수대학원 성격의 ‘외교아카데미’를 설립하고 외시출신과 아카데미 출신을 각각 절반씩 외교관으로 선발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반면 외시유지안은 현행 방식으로 외시를 통해 외교관을 충원하되 중앙공무원교육원 교육(6개월)과 외교아카데미 연수(2년간)를 거치도록 하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하고 있다.

 경쟁력강화위 안과 외시유지안 모두 외교아카데미를 설립·운영한다는데에는 공통점이 있으나 전자는 ‘충원기관’,후자는 ‘훈련기관’의 성격을 갖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간의 협의를 거쳐 다음달중으로 외교관 선발에 대한 최종 개편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정부 내에서는 행정고시와 외무고시를 통합하는 방안을 놓고도 찬반양론이 맞서고 있다고 외교소식통들이 전했다.

 찬성하는 측은 외교관의 ‘순혈주의’를 타파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으나 반대하는 측은 외교영역의 특수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소식통은 “현재 외교부의 인적구성상 외시출신이 47∼48% 밖에 안되고 절반 이상이 특채로 충원된다”며 “단순히 외교부의 순혈주의를 깨는 차원보다는 에너지,자원,기후변화,G20(주요 20개국) 회의 등 급변하는 외교수요에 맞춰 경쟁력있는 외교관을 선발할 수 있는 시스템이 과연 어느 것이냐 하는데 논의의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