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부문·업종별 감축목표… 녹색성장위, 내년 6월까지 확정

온실가스 부문·업종별 감축목표… 녹색성장위, 내년 6월까지 확정

입력 2010-08-26 00:00
업데이트 2010-08-26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는 25일 ‘온실가스 부문별 감축목표 설정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 1차회의를 열고 정부의 중기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내년 6월까지 부문별·업종별 감축 목표치를 확정하기로 했다. 정부는 앞서 지난해 11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BAU) 대비 30% 감축안을 확정한 바 있다.

이미지 확대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이 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산업·건물·교통 등 부문별 감축 목표와 철강·석유·전력 등 업종별 감축 목표에 대한 논의를 거쳐 내년 6월까지 구체적인 수치를 도출하기로 했다. 감축 목표는 2015년, 2020년 등 5년 단위로 마련하기로 했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고 관련 부처와 산업계, 시민단체, 전문가 등이 폭넓게 참여하는 민·관 합동 TF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또 녹색성장위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를 중심으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모형을 다양하게 활용, 목표 설정 작업을 진행하되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국내 산업의 경쟁력 저하를 막기 위해 배출집약적 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녹색성장위 주종완 기획변화대응팀 과장은 “적어도 1개월에 1회씩 회의를 열어 지속적인 논의를 할 방침”이라며 “내년 6월까지 경제정책조정회의와 녹색성장위 심의를 거쳐 부문별·산업별로 달성해야 하는 5년 단위의 감축 목표와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

녹색성장위는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중기 목표가 정해진 지난해 11월 이후 이를 달성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제도 마련에 주력해 왔다. 녹색성장위에 따르면 지난 4월 저탄소녹색성장 기본법과 시행령이 제정됐으며, 지난 6월에는 온실가스 종합정보 체계 구축 및 온실가스 감축 분석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가 설립됐다. 또 다량 배출업체를 대상으로 한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를 본격 추진하기 위해 이달 중 관리대상 업체 지정·관리 지침을, 9월에는 배출량 산정·보고·검증 및 관리업체 목표 설정·협의 지침 등을 담은 통합지침을 각각 고시할 예정이다.

김규환기자 khkim@seoul.co.kr

2010-08-26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