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문순 “균열 생긴 광화문 현판, 금강송 아니다”

최문순 “균열 생긴 광화문 현판, 금강송 아니다”

입력 2010-11-15 00:00
업데이트 2010-11-15 11: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화문 현판의 균열을 공개한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최문순(민주당) 의원은 15일 ”광화문 현판의 소재는 금강송이 아닌 일반 소나무“라고 주장,논란이 예상된다.
이미지 확대
최문순의원이 광화문 현판에 사용된 수종이 금강송이 아닌 일반 소나무인 것으로 확인됐다며 공개한 자료. 연합뉴스
최문순의원이 광화문 현판에 사용된 수종이 금강송이 아닌 일반 소나무인 것으로 확인됐다며 공개한 자료.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민주당 최문순 의원이 3일 공개한 현재의 광화문 현판 모습.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균열이 발생했다. 최문순 의원실 제공
민주당 최문순 의원이 3일 공개한 현재의 광화문 현판 모습.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균열이 발생했다.
최문순 의원실 제공


 최 의원은 이날 문화부.문화재청의 내년도 예산안 심의를 위한 문방위 전체회의에 앞서 보도자료를 내고 ”관련 전문가들에게 자문한 결과 광화문 현판에 사용된 수종이 일반 소나무임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금강송은 붉은빛을 띠지만 현판에 사용된 목재는 황백색이고,나이테 간격과 모양이 좁고 일정한 금강송과 달리 현판 목재의 나이테 간격은 넓다는 점에서 일반 소나무가 쓰였다는 게 최 의원의 설명이다.

 최 의원은 또 ”현판 목재의 수종 관련 자료를 확인한 결과 지난 4월29일 개최된 자문위원회의에서 현판 목재는 ‘육송’으로 결정됐고,검수 확인서에도 ‘금강송’이 아닌 ‘육송’으로 표시돼 있다“고 밝혔다.

 경복궁 광화문 복원 도편수인 신응수 대목장은 그동안 ‘현판 재료는 금강송’이라고 말해왔고,문화재청도 ”일반적으로 (각종 자료에) ‘금강송’으로 표시하지는 않지만 금강송이 맞다“고 답해 ‘금강송 현판’에 대한 진위 논란이 불거질 것으로 전망된다.

 나아가 최 의원은 현판의 ‘光’자에서 발생한 균열을 살펴볼 때 결이 바르지 않은 나무가 사용됐고,옹이가 많은 나무 윗동이 공급됐으며,곧은결 판재가 아닌 건조시 뒤틀리기 쉬운 무늬결 판재 등이 쓰였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최 의원은 광화문 우측 취두(기와집의 대마루 양끝에 세운 장식) 부분에 균열이 발생했고,광화문 포벽의 이음매가 헐겁게 조립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광화문 현판 균열 등은 8.15 행사 등에 맞추기 위해 문화재청의 꼭두각시 행정이 만들어낸 종합작품“이라며 ”현판 복원에 사용된 목재에 대한 재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