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진상규명” vs 한나라 “정치공세”
6월 임시국회가 막바지로 접어든 가운데 민주당이 “비공개 최고위원회의 내용이 도청당했다”고 주장하면서 진위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민주당은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면서 도청의 배후로 한나라당을 지목하며 진상 규명에 필요한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민주당이 명확한 물증도 없이 무차별적 정치 공세에 나서고 있다”고 반박하면서 증거를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여야가 도청 의혹을 놓고 팽팽히 맞서면서 6월 임시국회는 물론 27일 예정된 이명박 대통령과 민주당 손학규 대표간 영수회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민주당은 25일 오후 국회에서 손 대표 주재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소집하고 도청 의혹에 대한 당 차원의 대응책을 논의키로 했다.
홍영표 원내대변인은 “헌정 사상 초유로 야당 대표의 방을 도청하는 일이 벌어졌다”면서 “이런 상황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관련자에 대해 모든 법적ㆍ정치적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정장선 사무총장도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이 24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공개한 녹취록은 도청을 하지 않았다면 알 수 없는 내용”이라며 “한 의원은 녹취록을 언제, 누구로부터 입수했는지 밝히라”고 요구했다.
민주당은 이번 사안을 경찰에 수사의뢰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키로 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민주당이 있지도 않은 일을 만들어 정치공세에 활용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논란의 당사자인 한선교 의원은 “녹취록은 아니고 한 측근이 민주당으로부터 메모 형식으로 흘러나온 것을 정리한 발언록”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민주당이 그러한 주장을 하려면 도청의 증거를 대야 한다”면서 “얼마나 궁색하면 도청이라는 얘기를 하겠는가”라고 반박했다.
안형환 대변인도 “요즘 세상에 국회에서 도청이 가능하겠느냐. 지나친 억측”이라며 “민주당이 여야간 KBS 수신료 인상안 처리 합의를 깬 뒤 국민적 비판을 받을 처지가 되자 국면을 전환하기 위해 들고나온 전략적 공세”라고 일축했다.
앞서 한 의원은 24일 국회 문방위 전체회의에서 천정배 민주당 최고위원이 전날 민주당 최고위원ㆍ문방위원 연석회의에서 한 발언을 공개했고, 이에 민주당은 회의 내용이 도청됐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