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총리, 연일 역사행보로 여론전 총대’양날의 칼’?

황총리, 연일 역사행보로 여론전 총대’양날의 칼’?

입력 2015-11-04 17:25
업데이트 2015-11-04 17: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랑스러운 역사’ 강조하며 교과서 국정화 정당성 부각

역사교과서의 국정화 전환 전면에 나선 황교안 국무총리가 연일 ‘역사행보’에 나서고 있다.

황 총리는 국정화 고시 당일인 3일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필요성과 불가피성을 강조한 데 이어 4일에는 각종 행사에 잇따라 참석해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역사’를 강조했다.

황 총리는 이날 오후 총리공관에서 제18차 세계한인차세대대회에 참가한 재외동포 차세대 지도자들과 오찬을 하며 “대한민국은 광복 이후 지난 70년 동안 세계가 놀라워하는 ‘기적의 역사’를 써왔다”고 말했다.

이어 “6·25전쟁이 끝난 1953년 1인당 국민소득은 67달러에 불과했지만 이제는 3만달러를 바라보고 있다”며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무역 1조 달러를 달성했고,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나라로 크게 발전했다”고 역설했다.

앞서 황 총리는 이날 오전 SBS가 주최한 ‘미래한국 리포트 발표회’에 참석해 대한민국의 역사에 대한 자긍심을 역설하며 과거 역사의 계승·보완을 통한 ‘새로운 도약’을 다짐했다.

이 자리에서 황 총리는 “우리나라는 광복 이후 70년 동안 수많은 도전과 시련을 극복하고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발전을 함께 이룩했다”며 “성공의 역사는 계승하고 부족했던 과거는 보완해 새로운 도약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한 ‘글로벌 인재포럼’에 참석해서는 “6·25전쟁으로 폐허가 된 대한민국은 변변한 부존자원도, 자본도 없었다”며 “그렇지만 우리나라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한 원동력 가운데 하나는 교육을 통한 인재육성”이라고 말했다.

일련의 행보를 통해 황 총리는 기존의 역사교과서는 근·현대사를 폄하하고,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훼손하고 있는 만큼 역사교과서의 국정화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우회적으로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황 총리가 이번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국에서 새로운 시험대에 올랐다는 시각도 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교육부 담당 업무로, 전체 부처를 총괄하는 황 총리가 직접 나선 것은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황 총리는 전날 이례적으로 PPT(파워포인트)까지 동원해 현행 역사교과서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짚어가며 국민에게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타당성을 호소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정국의 핵으로 부상하면서 정치권 뿐만 아니라 보수와 진보 양 진영간 양보할 수 없는 ‘역사전쟁’에 나선 가운데 교과서 정국의 ‘해결사’를 자임하고 나선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황 총리는 ‘공안검사’ 출신이라는 점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이슈에 있어 ‘문외한’도 아니다.

황 총리는 법무부 장관 시절 ‘종북논란’의 대상이었던 통합진보당에 대해 헌법재판소에 위헌정당심판을 제기, 해산 결정을 끌어내기도 했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실무형’으로 인식돼온 황 총리가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한다면 박근혜 정부 내각에서 입지가 더욱 넓어지고 보수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잠재적 차기 대통령 후보군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양날의 칼’이 될 수도 있다.

황총리가 이념이 충돌하는 교과서 전선(戰線)의 전면에 나서고 보수 컬러가 고착화될 경우, 국정을 통할하는 총리로서 향후 갈등 요인을 수반하는 주요 정책을 조정하고 여론을 통합하는데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그동안 황총리는 취임 이후 ‘낮은데로 임하는’ 콘셉트의 현장총리로서 통합 행보에 주력해왔다는 점에 비춰 야당의 공세 프레임에 휘말려 다시 ‘공안총리’ 이미지로 회귀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