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 서거]주요 외신들 ‘한국의 민주화 지도자 서거’ 긴급 타전

[YS 서거]주요 외신들 ‘한국의 민주화 지도자 서거’ 긴급 타전

입력 2015-11-22 15:48
업데이트 2015-11-22 15: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요 외신들은 22일 김영삼 전 대통령의 갑작스런 서거 소식을 긴급기사로 타전했다. 외신들은 대체로 ‘한국의 민주화 지도자 출신 전직 대통령 서거’라는 제목으로 김 전 대통령의 정치 여정을 자세하게 소개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각지 한인회가 애도 성명을 발표했다.
 외신들은 야당 대표 시절의 민주화 여정과 대통령 재임 중 하나회 척결, 금융실명제 실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등을 김 전 대통령의 업적으로 고루 강조했다. 한편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상황이 초래되며, 그가 대통령 임기 말 어려움을 겪었다는 점도 전했다.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참석을 위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머물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조문 메시지를 통해 “온갖 희생을 감수하면서도 우리나라 민주화를 위해 평생을 헌신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경제·사회의 투명하고 건전한 발전을 위해 과감한 개혁을 이룩하신 분”이라고 밝혔다. 이어 “김 전 대통령께서 서거했다는 비보를 접하고 슬픔을 금치 못하겠다”면서 “고인의 명복을 빌며, 손명순 여사를 비롯한 유가족께 가슴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반 총장은 문민정부 시절인 1996~1997년 대통령 의전수석비서관,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이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반부패 개혁을 추진 중인 중국의 언론들은 문민정부 시절 군 개혁 및 반부패 개혁 정책에 큰 관심을 드러냈다. 중국신문망은 김 전 대통령 재임 중 하나회 척결 인사를 소개하며 “김 전 대통령이 반부패, 청렴을 기치로 개인의 배경보다 능력을 우선시하는 ‘유재시거’(唯才是擧)를 실천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포털 신랑망은 김 전 대통령이 금융실명제를 대통령긴급재정경제명령으로 급거 도입하고, 고위공직자 재산공개제도를 최초로 도입한 사례 등을 자세히 소개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