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총선 목표의석수 설왕설래…승패 분기점은

여야, 총선 목표의석수 설왕설래…승패 분기점은

입력 2015-11-22 11:28
업데이트 2015-11-22 1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與, ‘180석’ 공개설정…”수도권 유권자, 야당에 실망 커”野, 목표치 설정 ‘조심조심’…비주류 중심 비관론 확산

20대 총선이 다가오면서 벌써부터 여의도에서는 목표 의석수를 놓고 설왕설래가 한창이다.

새누리당이 일찌감치 목표치를 공개 설정하고 자신감을 표출하고 있는 반면 당 안팎의 상황이 복잡한 새정치연합에선 목표치를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걸 조심스러워하는 등 상반된 표정도 연출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지도부가 먼저 나서서 ‘180석 달성’을 목표치로 내걸며 본격적인 총선 체제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지난달 당원을 대상으로 한 행사에서 “이대로 단결하면 다음 총선에서 180석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보장한다”고 선언했고 원유철 원내대표도 “국정 현안을 힘있게 풀어가기 위해 180석 이상을 해야겠다”고 밝힌 바 있다.

‘180석’은 현행 국회의원 정수 300명을 기준으로 할 때 국회선진화법으로 불리는 개정 국회법에서 한쪽 정당이 안건 처리에 반대할 경우 신속처리대상 안건으로 지정해 조속히 처리하는 데 필요한 의결정족수를 의미한다.

내년 총선에서 전체 의석수의 5분의 3 이상을 차지하면 야당이 반대하더라도 여당의 숙원인 국회선진화법을 개정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목표치다.

여당은 승패 분기점이라 할 수 있는 현행 160석 유지를 우선 목표로 하되 ‘이정현 열풍’을 토대로 호남에서 1~2석을 추가하고, 그동안 고전한 서울 등 수도권에서 선전하면 180석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 황진하 사무총장은 22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상향식 공천을 바탕으로 올바른 공천, 좋은 공천을 이뤄낸다면 160석 유지는 물론이고 최대 180석, 190석까지도 목표로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른 당직자는 “수도권 유권자들의 최근 분위기를 보면 야당 일색의 광역단체장과 국회의원에 대한 상당한 실망감이 엿보인다”며 “이 같은 ‘심판론’ 분위기를 타고 노력하면 특히 서울에서 상당 부분 의석을 만회할 수 있으리라 본다”고 전망했다.

불안 요인으로는 공천룰을 둘러싼 지도부 내 갈등이 있지만 최근 파리 연쇄 테러로 안보를 중요시하는 분위기와 야권의 분열 가능성 등을 따져볼 때 충분히 도전해볼 만한 판이 짜였다는 분석이다.

새정치연합은 국정교과서 등 박근혜 정부의 실정을 바로 잡고 정권탈환의 교두보를 구축하기 위해 과반의석 확보를 통한 의회권력 교체가 절실한 상황이다.

문재인 대표는 최근 “총선에서 박근혜 정권의 독재와 민생 파탄을 견제할 의석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역사에 죄를 짓는 것”이라며 과반 확보의 절박함을 강조했다.

안규백 전략홍보본부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권에 대한 국민 실망이 크기 때문에 당내 문제를 빨리 매듭지으면 140~150석은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공개적으로 쉽사리 목표치를 ‘커밍아웃’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천정배 신당’이 텃밭인 호남에서 위협을 가하고 있는데다 당 내홍과 맞물린 지지율 답보 속에 수도권 의원들의 ‘체감 민심’도 낙관적이지 않은 탓이다.

19대 총선 당시 의석수인 ‘127석’이 표면적 승패 분기점일 수 있겠지만, 지금 분위기로 볼 때 ‘현상 유지’만 해도 선방이라는 분위기도 적지 않다.

설령 단순 숫자에서 19대 성적표를 밑돌더라도 여당 열세지역에서 선전, 대선 승리를 위한 전국정당화의 발판을 마련한다면 ‘사실상의 승리’로 볼 수 있다는 주장도 고개를 든다.

문 대표도 지난 9월 “그동안 열세지역인 영남·강원·충청에서 더 많은 약진을 한다면 승리로 볼 수도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비주류를 중심으로 개헌 저지선인 100석도 지키지 못한 채 “70∼80석밖에 못 건질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도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최근 총선 결과를 73석으로 예상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일부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안철수 전 대표는 대학 강연에서 “저는 망할 거라고 본다”고 까지 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당 지도부는 ‘73석 시뮬레이션’ 결과를 담은 문건을 ‘괴문서’로 규정, 강력 대응에 나서는 등 비관론 차단에 주력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