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 한 송이 바친 JP, 빈소서 눈물 “회자정리”

국화 한 송이 바친 JP, 빈소서 눈물 “회자정리”

입력 2015-11-22 13:52
업데이트 2015-11-22 13: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치사·개인 인연 떠올리며 “신념의 정치인” 치켜세워 “’닭의 목을 비틀어도…” 잊혀지지 않는 말…79년 제명때 나 혼자 반대””충신 어디갔느냐” YS ‘그림자 보좌’ 김기수 비서관 보자 울음 터뜨려

한국 현대 정치사를 상징하는 ‘3김(金)’의 한명인 김종필 전 총리는 22일 서거한 ‘정적이자 동지’ 김영삼 전 대통령의 영전에 조용히 국화 한 송이를 바쳤다.

김 전 총리는 이날 오전 8시50분 서울대병원 빈소를 휠체어를 탄 채 찾아 국화 한 송이를 들고 10초 정도 눈을 감았고, 양손 깍지를 끼고 묵념을 올렸다.

김 전 대통령의 집권에 다리를 놓은 지난 1990년 1월 ‘3당 합당’의 파트너였던

김) 전 총리는 빈소에서 한 시간 가량 머물며 김 전 대통령과 보낸 지난 60년 정치사를 떠올리며 심심한 애도를 표했다.

김 전 총리는 조문을 마친 후 내빈실에서 영욕의 과거를 함께 한 인물들과 김 전 대통령을 추억했다.

특히 김 전 대통령의 차남인 현철 씨, 또 상도동계로서 민주화 운동을 함께 했던 김수한 전 국회의장,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서청원 최고위원과 현대사의 굵직했던 장면들을 얘기하며 때론 웃음으로, 때론 울음으로 과거를 회고했다.

김 전 총리는 현철 씨에게 “아버지께서 하신 말씀이 많이 있는데 그중에 잊히지 않는 게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였다”면서 “당신의 신념대로 움직이는데 어떤 것도 자신의 신념을 꺾지 못하고, 민주화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했는데 그 게 생각이 난다”고 회고했다.

김 전 총리는 “보통 사람은 생각지 못하는 얘기다. 신념에서 우러나오는 말씀”이라면서 “김 전 대통령이 (지난 1979년) 국회에서 제명당할 때 모두 찬성했는데 나 혼자만 반대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이 그걸 아셨는데 나한테 아무 말도 뭐라고 안하더라”고 덧붙였다.

이어 김 전 총리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선조(김 전 대통령)를 퍽 괴롭혔다”면서 “그래서 내가 조금이라도 위안을 드릴 수 있었으면 해서 옆에 와서 다니고 있다는 얘기를 (박 전 대통령에게) 한 번 했더니 조용히 웃으십디다”라고 당시를 떠올렸다.

김 전 총리는 5·16 군사쿠데타 이후 비사도 소개했다.

김 전 총리는 “5·16 전에는 (YS를) 뵐 일이 없었다”면서 “근데 (5·16 이후) 한 번 농반진반으로 ‘같이 하십시다’ 그러니까 조용히 웃고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술회했다.

그러면서 “병원에 계시는 동안에는 (건강하리라는) 믿음이 있었는데 ‘회자정리’라는 말이 떠오른다”며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김 전 대통령이 정치인들에게 보내줬던 이른바 ‘민주멸치’에 대해서도 회고했다.

김 전 총리는 “여야 노나져(나눠져) 있는데, 멸치를 매년 보내주셔서 잘 먹었어요”라면서 “정치적인 찬반을 제쳐 놓고 ‘멸치가 한창 잡힐 때니 먹어보라’…”라며 고마움을 나타냈다.

김 전 총리는 소소한 개인 인연도 소개하고, 김 전 대통령의 부인 손명순 여사와 주변 인물들도 챙기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현철씨에게 몇 번씩이나 “자당을 잘 챙겨달라”면서 손 여사의 건강을 걱정했다.

김 전 총리는 주변에서 건강을 묻자 김 전 대통령이 단식하던 최병렬 전 한나라당 대표에게 ‘밥 못먹으면 죽는다’고 했던 말을 언급하며 “밥먹으니까 이렇게 살아있다”고 웃음을 지었다.

김 전 총리는 “끝까지 아버지를 모시던 충신은 어디갔느냐”면서 퇴임 후 줄곧 보좌했던 김기수 전 비서관을 만나서는 참았던 울음을 끝내 터뜨렸다.

한 시간가량 빈소에 머문 김 전 총리는 나가는 길에 기자들의 쏟아지는 질문에 입을 꼭 다문 채 말없이 발끝을 바라보며 “고인의 명복을 빌 뿐입니다”라며 빠져 나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