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차관 “위안부 해결, 한일협력 진전 관문…조건은 아냐”

외교차관 “위안부 해결, 한일협력 진전 관문…조건은 아냐”

입력 2015-11-22 14:17
업데이트 2015-11-22 14: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미 조태열 2차관, 美전문가 만나…”한중 긴밀외교, 성과내는데 시간”

조태열 외교부 2차관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이 “여타 분야에서 한일 협력 진전을 위한 관문(gateway)이지만 전제조건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미국을 방문 중인 조 차관은 19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미국 외교협회(CFR) 주최로 토마스 허바드 ‘코리아 소사이어티’ 이사장 등 한반도 전문가 20여명과 오찬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고 외교부가 22일 전했다.

미측 전문가들은 조 차관에게 ‘한일 간 공동 이익이 걸린 분야의 협력이 위안부 문제 때문에 너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냐’고 질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조 차관은 과거사 최대 현안인 위안부 문제가 매듭지어져야 한일관계도 안정적 궤도에 오른다는 것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 차관은 ‘한중관계 긴밀화가 한반도 문제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느냐’는 미측 전문가들의 물음에 “외교의 특성상, 성과를 거두기까지 잉태 기간(pregnancy period)이 길다”고 답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조 차관은 “우리의 대중 정책은 굳건한 한·미 동맹을 토대로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조 차관은 같은 날 백악관에서 에이브릴 헤인즈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과 면담한 자리에서도 미국 일각에서 제기되는 소위 ‘한국 대중경사론’의 문제점을 지적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헤인즈 부보좌관은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진전 상황에 관심을 표하고, 지난 2일 서울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이 ‘한일 관계 개선의 전기가 되기를 바란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북한 정세의 유동성과 상존하는 도발 가능성을 감안해 ‘모든 경우’에 대비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조해 나가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