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도·동교동계 송년회…YS·DJ 정신 계승·발전 다짐

상도·동교동계 송년회…YS·DJ 정신 계승·발전 다짐

입력 2015-11-30 16:04
업데이트 2015-11-30 16: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여 명 성황 “통합·화합 정신으로 지역주의 청산하자”김무성 “과한 경쟁으로 반목·갈등 조장한 점도 인정해야”

김영삼 전 대통령(YS)의 상도동계와 김대중 전 대통령(DJ)의 동교동계 인사들은 30일 한자리에 모여 우리나라 민주화 운동의 양대 산맥인 YS와 DJ의 정신을 계승·발전시키기로 ‘의기투합’했다.

상도동계와 동교동계를 주축으로 지난 1984년 결성돼 우리나라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던 민주화추진협의회(이하 민추협)은 이날 낮 여의도 국회 인근에서 송년모임을 가졌다.

이번 송년모임은 YS 서거 직후 처음 회합을 갖는 자리여서인지 평년 참석자의 두 배에 가까운 200여명이 참석했다.

공동이사장을 맡은 권노갑·김덕룡 전 의원과 공동회장인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박광태 전 광주시장, 고문인 김상현 전 의원을 비롯해 상도동계에서는 민추협의 초대 간사장을 맡았던 최형우 전 내무장관과 민주동지회 회장인 김봉조 전 의원, 동교동계에서는 김옥두 전 의원, 한화갑 전 민주당 대표, 국회부의장인 이석현 의원 등이 참석했다.

YS에 대한 추모 묵념으로 시작한 모임에서는 서거한 두 지도자와 함께한 민주화의 발자취를 회고하는 발언들이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최근 서거한 YS의 사실상 유언인 ‘통합과 화합’, DJ가 주창했던 지역주의 청산을 화두로 대화를 나눴고, 두 지도자의 이름을 앞서거니 뒤서거니 반복해 언급하며 예우했다.

권노갑 전 의원은 “돌아보면 참 고통스럽고 힘들었지만, 그 업적은 자랑스럽고 영광스러운 일이었다”며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의 정치 현실은 반목과 갈등이 만연하고 (이런 상황을) 추스를 만한 리더십도 찾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통합과 화합이란 김영삼 김대중, 김대중 김영삼 전 대통령의 유훈은 남은 우리에게 더 무겁게 다가온다”고 말했다.

김덕룡 전 의원도 “우리가 김영삼 김대중, 김대중 김영삼 두 분 지도자와 같은 시대에 태어나서 그 분들과 함께 민주화 투쟁을 전개, 오늘의 대한민국 만드는데 기여했다는 것은 이제는 고통이 아니라 즐거움이자 영광”이라고 강조했다.

김무성 대표는 “과거 두 지도자를 모시고 힘을 합해서 목숨을 걸고 독재와 싸워서 이 땅의 민주주의를 이룩하긴 했지만, 또 너무 과한 경쟁 때문에 우리 사회에 반목과 갈등을 조장했던 것을 우리가 인정해야 한다”며 “통합과 화합의 정신으로 지역주의 청산을 위해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이어 참석자들은 ‘대한민국의 구국융성·통일대한민국 달성·민주주의의 성숙’에 대한 염원을 담은 만세삼창을 하며 공식 식순을 마치고 식사를 함께 하며 이야기 꽃을 피웠다.

갈비탕에 반주를 곁들인 이날 오찬은 공동회장인 김무성 대표가 제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화갑 전 대표는 건배사에서 “우리가 한 세대를 살면서 두 분의 큰 지도자를 모셨다는 것은 인생의 큰 영광”이라고 외쳤고, 김봉조 전 의원은 “이 좁은 땅에서 너무 반목이 극심하다”면서 “두 어른이 남긴 유훈을 받들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 모두가 함께 노력하자”고 거들었다.

한편, 민추협은 두 전직 대통령의 유훈을 받들 기념사업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집행부의 논의를 거쳐 조만간 구체화한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 관계자는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