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 공동기자회견 입장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30일 오전(현지시간) 미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을 마친 뒤 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로즈가든으로 들어서고 있다. 2017.7.1
통상 정상회담은 본회담에 돌입하기 전 공동성명문 문구조절까지 끝나고, 언론에 ‘보도시점’을 건 채 사전배포되는 게 관례다. 하지만 30일(미 현지시간)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은 두 정상의 생방송 공동언론발표가 끝나고서도 7시간이 넘어서야 발표됐다.
외교가의 관례에서 보면 ‘이례적’이지만,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에는 빈번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이 정상급 성명을 채택한 국가는 일본,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아르헨티나, 베트남, 캐나다 등 6개국인데 베트남은 정상회담 당일 밤늦게 공동성명문이 발표됐다는 것이다.
다만, 지난 2월 일본 아베 신조 총리와 공동성명을 채택했을 때는 정상회담에 이어 곧바로 공동성명을 발표했으며, 이후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같은 헬기를 타고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별장인 마라라고리조트로 이동했다.
공동성명 발표가 지연된 1차적 이유는 문구를 늦고 막판까지 진통을 겪었기 때문이다. 문안 작성을 위한 실무 접촉은 조구래 외교부 북미국장과 이태호 청와대 통상비서관이 맡았다. 큰 틀은 어렵지 않게 합의가 이뤄졌지만, 구체적 표현을 두고 줄다리기가 이어져 정상회담 수 시간전인 30일 오전에야 합의문을 도출했다. 하지만, 백악관은 양국 간 합의가 끝난 공동성명에 대한 발표를 미뤘다. 오후 4시쯤 트럼프 대통령이 뉴저지주로 주말 휴가를 떠났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공동성명 발표가 무산되는 것이 아니냐는 긴장감도 감돌았다.
백악관 측 발표가 늦어진 까닭은 라인스 프리버스 비서실장이 결재를 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결국, 오후 7시가 다 되서야 프리버스 비서실장이 원안 그대로인 공동성명문 발표안에 서명했고,우리 측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워싱턴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