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총리 “도쿄 확진자 많아…일본인 비자 제한 유지할 수도”

정 총리 “도쿄 확진자 많아…일본인 비자 제한 유지할 수도”

곽혜진 기자
입력 2020-03-27 16:42
업데이트 2020-03-27 16: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세균 국무총리가 27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3.27/뉴스1
정세균 국무총리가 27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3.27/뉴스1
정세균 국무총리는 일본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와 관련해 “최근 도쿄도에서 확진자가 상당히 많이 나왔는데 그런 상황이 지속되면 (일본인 무비자 입국 효력 정지 조치가)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27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간담회에서 현재 코로나19 대응 일환으로 일본에 취하고 있는 한국 정부의 비자 제한 조치를 연장할 계획이 있는지 묻는 일본 기자의 물음에 이같이 대답했다.

앞서 일본은 지난 5일 한국에서 들어오는 입국자에 대해 14일간 대기하도록 하고 무비자 입국을 사실상 금지하는 등의 조치를 발표했다. 이에 한국 정부는 이튿날 상응하는 조치로서 일본에 대해 무비자 입국 금지 및 이미 발급된 비자의 효력을 정지하기로 했다.

정 총리는 모두발언에서 “범국민적 총력 대응의 결과, 우리나라의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해외 유입 확진자 수를 제외하고 최근 여러 날째 두 자리로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결코 낙관할 수 없는 상황으로 코로나19와의 싸움은 더 길어질 수 있다”며 “우리는 방심하지 않고 장기전에 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 총리는 일본 등 더 많은 나라와 통화스와프 협정을 체결할 수 있는지를 묻는 말에는 “과거에 오래 지속한 일본과의 통화스와프가 외환 시장에 기여한 바가 크다”면서 “일본과 통화스와프가 이뤄지는 게 옳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다만 “일본과의 통화스와프는 일본 측의 입장 때문에 연장되지 않은 것이어서 일본의 입장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국과 일본은 2016년 8월 통화스와프 체결을 위한 논의를 시작했지만, 부산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 문제를 둘러싼 갈등으로 지난해 1월 논의를 중단한 바 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