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물단지” 선거현수막이 가방으로...‘필환경 선거’

“애물단지” 선거현수막이 가방으로...‘필환경 선거’

신형철 기자
입력 2020-04-21 18:27
업데이트 2020-04-21 19: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1일 정의당 오현주 캠프 관계자들이 폐 현수막으로 가방을 만들고 있다.
21일 정의당 오현주 캠프 관계자들이 폐 현수막으로 가방을 만들고 있다. 오현주 캠프 제공
서울 마포을 지역구에 출마한 정의당 오현주 후보는 21일 선거 때 캠프 관게자들이 함께 밤을 지새웠던 지역사무실에 다시 모였다. 폐 현수막으로 가방, 주머니 등 생활도구를 만들기 위해서였다. 평생 제대로 된 바느질 한 번 해본적 없는 탓에 재활용 과정 자체가 난관이었다.

캠프 관계자들은 인근 주민에게서 재봉틀을 빌리고, 폐현수막을 모두 수거하는 등 현수막을 제작할 때와 비슷한 수고를 들였다. 그렇게 오 후보 캠프는 이번 총선에서 버려지는 현수막에 새 생명을 불어넣어 생활도구로 재탄생시킬 수 있었다.

각 캠프의 ‘홍보 현수막’은 선거운동 때 빼놓을 수 없는 감초 역할을 한다. 톡톡 튀는 현수막 문구로 선거 운동 과정에 큰 홍보 효과를 누리기도 하고, 현수막에 실린 실언이 선거의 패착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막상 선거가 끝나고 나면 현수막은 ‘애물단지’로 전락한다. 현수막은 재활용하기도 어려워 대부분 소각처리해 환경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한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방선거가 있었던 지난 2018년 전국에서 발생한 폐현수막 9220t가운데 소각 처리된 현수막은 5649t으로 61% 수준이었다. 재활용은 3093t(33.5%)에 그쳤다.
 21일 정의당 오현주(맨 왼쪽) 후보와 캠프 관계자들이 재봉틀 등을 이용해 폐 현수막으로 가방을 만들고 있다.
 21일 정의당 오현주(맨 왼쪽) 후보와 캠프 관계자들이 재봉틀 등을 이용해 폐 현수막으로 가방을 만들고 있다. 오현주 캠프 제공
결국 현수막에게 새로운 생명을 되살리려면 현수막 천으로 주머니나 옷 등을 만드는 방법밖에 없다. 과거 대선 과정에서 쓰인 현수막으로 ‘이니(문재인) 가방’이 탄생했던 배경이다. 주무부처인 환경부에서도 이 같은 재활용을 독려한다. 환경부는 총선 때 사용된 폐현수막을 재활용하도록 각 지방자치단체를 독려할 계획이다.

개별 캠프 뿐 아니라 앞서 부산시는 선거 폐현수막으로 다용도 주머니를 만들겠다는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부산시는 총선 이후 발생한 폐현수막 9200여장을 초등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주머니로 제작해 배부하는 ‘다주리 부산’ 사업을 추진한다.

다만, 환경단체에서는 선거 홍보용 현수막 사용을 자제하는 게 궁극적인 해법이라고 강조한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은 “한국처럼 온라인과 모바일 공보·홍보체계가 잘 된 나라에서 굳이 아날로그 적인 현수막 홍보를 고집할 필요가 있는가 싶다”며 “선거 폐기물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결국 현수막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