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적인 형태의 가해” 이소정, 박원순 극단적 선택 언급

“최종적인 형태의 가해” 이소정, 박원순 극단적 선택 언급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0-07-28 08:24
업데이트 2020-07-28 08: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떤 자살은 가해” KBS 이소정 앵커 발언
청와대 국민청원 “공영방송 중립성 훼손했다”
KBS ‘뉴스9’을 진행하는 이소정 앵커/해당 방송 캡처
KBS ‘뉴스9’을 진행하는 이소정 앵커/해당 방송 캡처


청와대 국민청원에 KBS ‘뉴스9’을 진행하는 이소정(44) 앵커의 하차를 요구하는 글이 올라왔다. 청원인은 “방송의 중립성을 훼손했다”며 이 앵커가 뉴스에서 했던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관련 발언을 언급했다.

27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KBS 뉴스9 이소정씨 하차 청원’이란 제목의 청원 글이 게시됐다. 해당 청원은 28일 오전 8시 기준 1만 명 이상이 동의했다.

청원인은 “KBS 뉴스9의 이소정씨는 공영방송의 앵커의 역할을 함에 있어 ‘어떤 자살은 가해였다. 아주 최종적 형태의 가해였다’고 말을 함으로써 현재 경찰에서 확인하고 있는 사안임에도 소설의 한 문구로 시청자를 확증편향에 이르도록 하여 방송의 중립성을 심각하게 훼손했다”고 강조했다.

“어떤 자살은 가해였다. 아주 최종적인 형태의 가해였다”
앞서 이 앵커는 지난 16일 KBS 뉴스 9에서 박 전 시장의 성추행 의혹 관련 보도가 나간 이후 소설가 정세랑 ‘시선으로부터’의 내용 가운데 ‘어떤 자살은 가해였다. 아주 최종적인 형태의 가해였다’라는 문장을 소개했다.

이 앵커는 해당 문구를 소개하면서 “누군가의 죽음이 살아남은 이에겐 돌이킬 수 없는 가해가 된다는 의미”라며 “이 문장이 수없이 공유됐다는 건 그만큼 공감하는 마음이 많았다는 뜻이다. 진실의 무게는 피해자가 짊어지게 됐고 피해자 중심주의란 말이 무색할 정도로 우려하던 2차 가해도 범람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앵커는 “4년간 뭐 하다 이제 와 그러냐는 한 방송인의 발언이 논란이 됐고, 한 현직 검사는 팔짱 끼면 다 성추행이냐는 비아냥을 보내기도 했다. 피해자의 고통을 염두에 두고 진실을 찾아가는 것. 우리 사회가 지켜야 할 최소한의 품격이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청원인은 “이 앵커는 조사 중인 사안임에도 박 전 서울시장 뉴스에서 피해 호소인의 입장을 첫 꼭지에 다루고 마지막 꼭지에 (정세랑씨 소설의) 한 문구를 인용했다”면서 “한 문구만을 들어내어 사용하여 마치 모든 사안이 결론이 난 것처럼 시청자가 생각하도록 보도했다”고 주장했다.

또 “박 전 시장의 임기 중에 발생한 고소인의 성추행 고소와 사망 경위는 경찰 등에서 조사 중인 사안”이라며 “이를 마치 결론이 난 것처럼 방송해 사법부의 판단이 이르기 전에 결론을 내리고 고인의 명예를 심각히 훼손했다. 공영방송으로써 중립성을 지켜야 함에도 방송의 중립성을 심각하게 훼손한 KBS 뉴스9의 기자 출신의 메인 앵커 이소정씨의 하차를 청원한다”고 적었다.
해당 청와대 국민청원
해당 청와대 국민청원
친문 커뮤니티 “이 앵커 하차 국민청원 동의 부탁” 독려
방송이 나간 뒤 친문·친여(親與) 성향의 커뮤니티 사이트 클리앙과 트위터 등에서는 해당 방송 내용을 알리며 이 앵커의 하차와 KBS 뉴스 폐지를 요구하는 글이 올라왔다.

27일 오후 4시쯤 이 앵커 하차에 대한 국민청원이 사전동의 심사를 통과하자 클리앙에는 “이소정씨 하차 국민청원이 정식으로 국민청원에 등록됐다”며 “많은 동의와 공유 부탁드린다”는 글이 올라와 이용자들의 청원 참여를 독려했다.

한편, 이소정 앵커는 지난 2003년 KBS 기자로 입사해 작년 11월부터 뉴스 9을 진행해왔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