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파장 고려해 사실상 ‘2.5단계’로…“3단계는 최후 수단”

경제적 파장 고려해 사실상 ‘2.5단계’로…“3단계는 최후 수단”

곽혜진 기자
입력 2020-08-28 11:00
업데이트 2020-08-28 11: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세균 국무총리가 28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8.28 뉴스1
정세균 국무총리가 28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8.28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국적인 재확산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정부가 수도권 거리두기를 3단계로 격상하는 대신 일부만 강화하는 ‘2.5단계’로 절충하는 방편을 택했다. 3단계 격상은 경제적 파장을 고려해 최후의 수단으로 남겼다.

정부는 우선 30일 종료될 예정이었던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를 1주 더 연장하기로 했다. 대신 음식점이나 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운영 시간을 제한하는 등 일부 방역 조치를 강화하기로 했다. 사실상 2.5단계로 올린 셈이다.

이에 대해 정세균 국무총리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정부는 2단계 거리두기를 한주 더 연장하되 보다 강력한 방역 조치를 추가하고자 한다”며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는 경제·사회적 파급 효과를 감안하면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마지막 카드”라고 설명했다.

실제 거리두기 3단계가 시행되면 필수적인 사회·경제활동 외 모든 활동이 금지된다. 또 10인 이상이 모이는 모든 집합·모임·행사를 열 수 없다. 때문에 3단계가 시행되면 경제적으로 상당한 충격을 받는 것은 물론 이후 회복하는 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최근 2주간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200∼400명대를 넘나들고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환자까지 급증하고 있어 방역도 점점 한계에 이른 상태다. 따라서 이번 조치에도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다면 정부도 종국에는 3단계 카드를 꺼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