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공공 부문에서 경험을 쌓도록 하기 위한 중앙행정기관 청년인턴 규모가 내년에 대폭 늘어난다.
고용노동부와 국무조정실 등 11개 정부부처는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제2차 일 경험 정책협의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3일 밝혔다. 중앙행정기관 청년 인턴은 “청년 문제의 핵심은 청년들의 국정 참여”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로 올해 시작된 제도다.
전체 45개 기관 중 39곳에서 공고 접수를 마쳤으며, 올해 채용계획 2061명 가운데 1902명을 상반기에 채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내년 중앙행정기관 청년 인턴 규모를 대폭 확대하는 한편, 대학 재학생을 위한 2∼3개월 단기 프로그램을 신설하기로 했다. 지방자치단체로 청년 인턴 제도를 확산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청년들이 충분한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인턴 채용기간도 3개월에서 6개월로 확대하고 인턴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위해 참여 청년들의 만족도 조사를 의무화하는 등 평가·환류 체계를 개선해 나가고 있다.
해외 인턴의 경우 파견 대상국을 다양화하고 있다. 외교부와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은 해외 인턴 프로그램이 일자리 창출로 연계되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할 계획이다. 노동부는 공공·민간 부문 일 경험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용노동부와 국무조정실 등 11개 정부부처는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제2차 일 경험 정책협의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3일 밝혔다. 중앙행정기관 청년 인턴은 “청년 문제의 핵심은 청년들의 국정 참여”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로 올해 시작된 제도다.
전체 45개 기관 중 39곳에서 공고 접수를 마쳤으며, 올해 채용계획 2061명 가운데 1902명을 상반기에 채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내년 중앙행정기관 청년 인턴 규모를 대폭 확대하는 한편, 대학 재학생을 위한 2∼3개월 단기 프로그램을 신설하기로 했다. 지방자치단체로 청년 인턴 제도를 확산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청년들이 충분한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인턴 채용기간도 3개월에서 6개월로 확대하고 인턴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위해 참여 청년들의 만족도 조사를 의무화하는 등 평가·환류 체계를 개선해 나가고 있다.
해외 인턴의 경우 파견 대상국을 다양화하고 있다. 외교부와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은 해외 인턴 프로그램이 일자리 창출로 연계되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할 계획이다. 노동부는 공공·민간 부문 일 경험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