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서울현충원 등 국립묘지를 ‘열린 보훈 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방안에 응답자 70% 이상이 지지의견을 밝혔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를 위해 접근성 개선, 편의시설 확충, 다양한 문화행사 개최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다만 국립묘지에 반려동물을 데리고 들어가는 방안에 찬성하느냐는 질문에는 절반 이상이 반대했다.
국가보훈부는 한국갤럽에 의뢰해 19세 이상 69세 이하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립묘지 및 보훈정책 관련 국민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74.7%(매우 필요 16.5%, 필요 58.2%)가 국립묘지를 열린 보훈문화 공간으로 조성하는 데 찬성했다고 24일 밝혔다.
국립묘지를 열린 보훈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는 ‘대중교통 등 접근성 개선’(36.2%), ‘공원화 및 편의시설 확충’(31.5%), ‘둘레길 등 연계시설 확충’(16.4%), ‘음악회·영화제 등 다양한 문화행사 개최’(12.5%) 등을 꼽았다.
반려동물 출입에 대한 찬반을 묻는 항목에는 ‘반려동물 출입에 반대한다’는 의견이 54%를 차지했다. ‘반려동물 이동함 사용 등 조건부 찬성’은 32.9%, ‘동반 입장 찬성’ 의견은 12.8%였다. 현재는 국립묘지 출입 시 반려동물을 동반할 수 없다. 지난달 연예인 최민수 부부가 반려견과 함께 서울현충원을 방문했다가 논란이 되자 “실수였다”며 사과한 바 있다.
보훈부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지난 7일부터 13일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69세 이하의 국민 1005명을 대상으로 유선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국가보훈부는 한국갤럽에 의뢰해 19세 이상 69세 이하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립묘지 및 보훈정책 관련 국민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74.7%(매우 필요 16.5%, 필요 58.2%)가 국립묘지를 열린 보훈문화 공간으로 조성하는 데 찬성했다고 24일 밝혔다.
국립묘지를 열린 보훈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는 ‘대중교통 등 접근성 개선’(36.2%), ‘공원화 및 편의시설 확충’(31.5%), ‘둘레길 등 연계시설 확충’(16.4%), ‘음악회·영화제 등 다양한 문화행사 개최’(12.5%) 등을 꼽았다.
반려동물 출입에 대한 찬반을 묻는 항목에는 ‘반려동물 출입에 반대한다’는 의견이 54%를 차지했다. ‘반려동물 이동함 사용 등 조건부 찬성’은 32.9%, ‘동반 입장 찬성’ 의견은 12.8%였다. 현재는 국립묘지 출입 시 반려동물을 동반할 수 없다. 지난달 연예인 최민수 부부가 반려견과 함께 서울현충원을 방문했다가 논란이 되자 “실수였다”며 사과한 바 있다.
보훈부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지난 7일부터 13일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69세 이하의 국민 1005명을 대상으로 유선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국립서울현충원 모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