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의사파업 강경대응 문 대통령에 “초심 변했습니까”

안철수, 의사파업 강경대응 문 대통령에 “초심 변했습니까”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0-08-27 17:47
업데이트 2020-08-27 17: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의 트위터 캡처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의 트위터 캡처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27일 “법과 원칙대로 임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의료계 파업에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초심이 변했느냐고 지적했다.

안 대표가 문 대통령의 초심으로 내세운 것은 지난 2013년 민주노총에 대한 공권력 투입을 비난한 문 대통령의 트윗이다. 당시 문 대통령은 공권력 투입은 정부의 소통과 대화능력 부족만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한국 교회 지도자들과 함께한 간담회에서 대한의사협회의 2차 총파업과 관련해 “의료계의 집단행동이 국민들에게 불안과 고통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문 대통령은 “코로나 위기 상황에서 의료인들이 의료 현장을 떠난다는 것은 전시상황에서 군인들이 전장을 이탈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사상 최대의 화재가 발생했는데 소방관들이 화재 앞에서 파업하는 것이나 진배없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앞서 안 대표는 정부가 코로나 2차 재유행을 맞아 방역 책임을 특정 집단과 야당에 떠넘긴다고 비난한 바 있다. 특히 7월 20일 문 대통령이 섣불리 코로나19 종식 이야기를 꺼냈고 8월 초에는 일부 병원에서 코로나 전용 중환자 병상을 대폭 감축하도록 지시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로서는 진정성 있는 대화를 나누면서 또 다른 한편으로 법과 원칙대로 임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의료계 파업에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의료계의 파업 첫날인 전날 “원칙적 법 집행을 통해 강력히 대처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안 대표는 의료계 총파업에 대해 “정부는 권력층만의 잔치가 될 것이 뻔한 공공의대 설립 방침을 철회하지 않고 있고, 이에 맞서 의료계 역시 물러서지 않고 있다”고 진단하며 의사 양성까지 14년이 걸리는 정책을 하필 지금 터뜨린 정부에 책임을 돌렸다.

안 대표는 부동산정책 실패로 인한 성난 민심과 코로나19 2차 확산에 따른 방역 실패 책임을 의사들에게 돌리고 정부는 빠져나가려 하느냐고 추궁하기도 했다.

또 정부의 의사들에 대한 각종 행정명령을 당장 거두라며 문 정권이 ‘윽박질 정권’이냐고 반문했다.

안 대표는 의사들에게 총파업을 멈추고 국민들의 편에 서서 불합리한 정부와 싸우며 코로나19 방역과 대처에 힘을 모으자고 호소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