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내내 美와 ‘대북 갈등’… 동맹은 강화

임기 내내 美와 ‘대북 갈등’… 동맹은 강화

입력 2015-11-22 23:02
업데이트 2015-11-23 0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클린턴 前 미국 대통령과의 인연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에 대해 미국 유력 일간지인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월스트리트저널 등과 함께 방송인 CNN, ABC 등이 서울발로 긴급하게 보도했다. 이런 가운데 NBC는 김 전 대통령과 비슷한 시기에 집권한 빌 클린턴(69) 전 미국 대통령과의 인연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들은 대북 정책 등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었지만 한·미 동맹 강화에는 상당한 역할을 했다.

이미지 확대
클린턴에게 ‘대도무문’ 휘호 선물
클린턴에게 ‘대도무문’ 휘호 선물 22일 서거한 김영삼 전 대통령이 재임 중이던 1993년 7월 청와대에서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에게 선물할 휘호를 쓰고 있다. 김 전 대통령의 좌우명인 ‘대도무문’(大道無門)이라는 문구로, ‘큰길로 정직하게 나아가면 결국 문이 열린다’는 뜻을 담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1993년 초 한달 간격으로 집권한 김 전 대통령과 클린턴 전 대통령에게 닥친 난관은 북한 핵 문제였다. 김 전 대통령의 5년 재임 기간 내내 미국 대통령은 클린턴이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영변 미신고 시설 두곳의 특별사찰을 요구하자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선언해 벌어진 ‘1차 북핵 위기’로 한·미 간 대북 협상 주도권 경쟁이 벌어졌다. 클린턴 전 대통령과 그의 부인이자 민주당 대선 유력 주자인 힐러리 클린턴이 그해 7월 방한하자 김 전 대통령은 좌우명 ‘대도무문’(大道無門)을 직접 쓴 휘호를 건넸으며 미국이 주도하는 북·미 회담에 대한 큰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1994년 초 한반도 전쟁 위기가 고조되자 둘의 관계는 더 불편해졌다. 미국은 당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결의를 추진하는 등 강경한 태도로 돌변했다. 당시 윌리엄 페리 국방장관은 영변 핵시설에 대한 폭격 계획까지 검토했다. 김 전 대통령은 그해 6월 미국이 주한 민간인 소개령을 검토하기 시작하자 이를 전쟁 임박 징후로 이해하고 제임스 레이니 주한 미대사를 불러 “미국이 우리 땅을 빌려 전쟁을 할 수는 없다”며 강력한 항의의 뜻을 표했다.

이들은 북핵 문제로 갈등을 겪었지만 개인적 우의를 유지하며 한·미 동맹 강화를 위해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자서전 ‘나의 인생’에서 1993년 한국 방문에 대해 “영빈관에 묵었는데 그곳 실내 수영장에 몸을 담그려 하자 내가 좋아하는 음악이 흘러나왔다”며 “한·미 동맹에 대한 감사와 그것을 유지해야겠다는 다짐을 하면서 한국을 떠났다”고 밝혔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11-23 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