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미사일지침 개정 추진…현재 중량 500㎏서 두 배 늘려
화강암반 지하 표적 타격 가능…실질 사거리 늘어나는 효과도정부가 북한의 지하 벙커와 핵시설을 파괴할 수 있는 사정거리 800㎞ 탄도미사일 탄두 중량을 지금보다 2배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수뇌부가 은신할 벙커를 공격할 수 있도록 미사일의 성능을 고도화하려는 것이다. 한·미 양국은 이를 위해 5년 만에 미사일지침(NMG·New Missile Guideline)을 개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사거리 800㎞의 탄도미사일에 실을 수 있는 탄두 중량을 현행 500㎏에서 1t으로 늘리는 방향으로 한·미 미사일지침 개정을 추진 중인 것으로 24일 알려졌다. 사진은 지난 6월 충남 태안 국방과학연구소(ADD) 종합시험장에서 사거리 800㎞의 탄도미사일인 현무2 미사일이 차량형 이동식발사대에서 발사되고 있는 모습.
국방과학연구소 제공
국방과학연구소 제공
2012년 한·미 미사일지침을 개정하면서 정부는 최대 사거리를 기존의 300㎞에서 800㎞로 늘리되 탄도 미사일의 탄두 중량은 500㎏을 유지하기로 했다. 사거리 800㎞ 탄도미사일은 유사시 북한 지휘부를 응징·보복하는 데 동원될 핵심 전략무기다. 그러나 기존 500㎏ 탄두 중량으로는 화강암반 지하 수십 m 깊이의 표적을 완벽하게 타격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탄두 중량을 1t으로 확대하면 파괴력을 더 끌어올릴 수 있다. 북한 지도부를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이 획기적으로 진전되는 것이다. 이는 핵과 미사일 개발을 계속하고 있는 북한 김정은 정권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로 풀이된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실을 수 있는 탄두 중량의 최대치를 배로 늘린다는 것은 결국 엔진의 추력을 늘리는 효과로 연결되므로 미사일 기술 측면에서는 사거리를 늘리는 것과 본질상 효과가 같다”고 평가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7-07-25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