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비핵화 의지… 美 ‘CVID’ 첫 언급

강력한 비핵화 의지… 美 ‘CVID’ 첫 언급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18-03-02 22:36
업데이트 2018-03-02 22: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미 정상 북핵 온도차?

지난 1일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화 통화가 끝난 뒤 청와대와 백악관이 몇몇 부분 차이가 나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내놓았다.

1일(현지시간) 백악관이 내놓은 발표문에는 ‘CVID’라는 표현이 등장했다. 백악관은 “양국 정상은 북한과의 어떤 대화도 CVID라는 분명하고 확고한 목표(explicit and unwavering goal)를 갖고 진행돼야만 한다는 굳건한(firm) 입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靑 “남북대화 모멘텀 유지… 비핵화 노력”

CVID는 완전하고(complete), 검증 가능하고(verifiable), 돌이킬 수 없는(irreversible) 핵폐기(denuclearization)의 약어다. 이전까지 백악관은 홈페이지에 양국 정상의 통화 내용에 대해 11개의 발표문을 올렸지만 CVID를 언급한 적은 없었다. 이 약어는 통상 비핵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현할 때 쓰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북한은 대화를 원하지만 우리는 오직 적절한 조건 아래에서만(only under the right conditions) 대화하길 원한다”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반면 청와대는 서면 브리핑에서 “양국 정상은 남북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해 이를 한반도의 비핵화로 이어 나가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해 온도 차이를 보였다.

●백악관 발표문에 ‘대북 특사’ 빠져

청와대는 또 “문 대통령은 북한 고위급 대표단 방남 시 논의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대북 특사를 조만간 파견할 계획임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백악관의 발표문에는 “문 대통령이 북한 및 남북 대화와 관련한 진전 상황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설명했다”고 했다. ‘대북 특사’ 부분은 빠진 것이다.

이에 대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일 “CVID는 말을 하지 않아도 당연히 아는 것”이라며 “북한에서 특사단을 보냈고 모멘텀을 살리는 차원에서 우리도 특사단 답방을 보내겠다고 문 대통령이 말하자 트럼프 대통령도 ‘알았다, 어쨌든 특사단이 북한에 가면 반응과 거기서 있었던 일들에 대해서는 우리에게 잘 공유를 해 줬으면 좋겠다’는 반응이었다”고 전했다. 한·미 정상 간 대북 특사 파견에 별다른 이견은 없었다는 의미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8-03-03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