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거리‘ 부각, 애써 ‘미사일’ 표현 안 쓴 폼페이오, CNN “미사일 맞다”

‘단거리‘ 부각, 애써 ‘미사일’ 표현 안 쓴 폼페이오, CNN “미사일 맞다”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5-06 10:15
업데이트 2019-05-06 1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미들버리 국제연구소 입수 위성 영상 CNN 동영상 캡처
미국 미들버리 국제연구소 입수 위성 영상
CNN 동영상 캡처
CNN 동영상 캡처
CNN 동영상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북한이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하는 ‘도발’에 나섰지만 상황 악화를 막기 위해 최대한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이 쏜 것은 ’단거리‘ 발사체여서 미국은 물론 한국과 일본에 위협이 되지 않았다는 점을 부각시켜 북한의 의도된 ’저강도‘ 도발에 휘말려들지 않으면서 1년 넘게 끌어 온 북미 협상의 판을 깨지 않겠다는 의도를 분명히 하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5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 ABC뉴스, CBS뉴스의 시사프로그램에 잇따라 출연해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에 대한 분석과 함께 북미 대화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정확한 분석을 위해 당국의 평가가 진행 중이라면서도 단거리 발사체였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얼마나 멀리 날아갔는지는 말하지 않겠지만 단거리로 여러 발 발사됐다”,“중거리 미사일이나 장거리 미사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은 아니란 높은 확신을 갖고 있다”,“우리는 그것이 비교적 짧은 거리였으며, ICBM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어느 순간에도 국제적 경계를 넘어서지 않았다”며 “미국이나 한국, 일본에 위협을 가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아울러 북한이 쏜 발사체를 ‘그것들’(they)이라고 지칭하며 ‘미사일’이라고 표현하지 않았다. 북한이 발사한 것을 둘러싸고 ‘핵·미사일 시험 유예’(모라토리엄) 약속을 위반했는지 여부 논란이 벌어지는 것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북한이 그들의 미사일 발사 모라토리엄을 위반했는지 묻는 진행자에게 “한번 봐야겠다”면서도 “모라토리엄은 미국을 확실히 위협하는 ICBM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은 이번 발사와 모라토리엄 위반은 거리가 있다고 지적함으로써 트럼프 행정부의 대화를 통한 북핵 해결 노력에 장애가 될 수 있는 여지를 차단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CNN은 북한 발사체의 궤적을 보여주는 위성 촬영 영상을 단독 보도하며 중간에 로켓 엔진이 분리되는 등 단거리 미사일이 확실해 보인다고 보도했다. 방송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몬트레이에 있는 미들버리 국제연구소에서 입수한 위성사진을 공개했다. 이 연구소 동아시아 비핵화 프로그램의 제프리 루이스 소장은 “발사 위치, 배기가스의 두껍고 자욱한 연기 모습, 로켓 발사 흔적이 하나밖에 없는 점은 모두 이것이 북한이 선전물에서 보여준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라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루이스 소장은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는 4일 오전 9시 6분쯤 시작됐으며, 오전 10시 전후로 또 하나의 발사체가 발사됐다고 덧붙였다. 미들버리국제연구소가 CNN에 제공한 이미지는 상업위성 플래닛 랩스가 포착한 것이다. 루이스 소장은 “이런 순간을 포착할 가능성은 100만분의 1 확률”이라면서, 발사된 뒤 “몇 초나 몇 분 안에” 찍혔을 것으로 추정했다. CNN은 또 이번 발사체에 대한 초기 분석과 관련해 미국 정부 관계자가 “다연장로켓시스템(MLRS)과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폼페이오 장관의 이날 인터뷰 가운데 주목할 점은 대북 인도적 지원이 북한 비핵화 노력의 방편이 될 수 있다고 시사한 대목이다. 그는 북한의 심각한 영양실조를 먼저 거론하며 대북 인도적 지원은 현 제재의 틀에서도 열려 있다고 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진행자가 트럼프 대통령의 비핵화 합의 낙관에 대한 의견을 묻자 “나 역시 이(비핵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길이 있다고 믿는다”며 “지난 금요일(3일)에 북한 인구의 50%가 심각한 영양실조 위험에 처해 있다는 유엔 보고서가 나왔다”며 북한 기근 문제를 거론했다. 그는 “만약 핵무기들이 사라지면 북한에 엄청난 이익이 된다는 것을 그들은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인 뒤 ‘미국이 기근 대응을 위해 인도적 지원을 위해 제재를 해제하는 조치를 고려하느냐’는 질문에 “당신은 인도주의적 지원은 허용된다는 것을 기억할 것”이라고 말한 뒤 “말하자면 제재를 하더라도 북한 주민이 식료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