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으로 한미 軍 해외활동에도 차질…남수단 “평화유지국 입국 중지”

코로나19 확산으로 한미 軍 해외활동에도 차질…남수단 “평화유지국 입국 중지”

이주원 기자
입력 2020-03-12 17:28
업데이트 2020-03-12 17: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주한미군 장병들이 평택 미군기지에서 ‘비활성화탄’을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발사대에 장착하는 훈련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한미군 장병들이 평택 미군기지에서 ‘비활성화탄’을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발사대에 장착하는 훈련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가 군내에도 확산하면서 파병부대의 교대와 주한미군 순환배치 등 해외에서 이뤄지는 군의 활동도 제약을 받고 있다.

12일 국방부에 따르면 최근 국방부는 한빛부대가 파병해 있는 남수단으로부터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새로운 평화유지군의 입국을 중지해달라는 요청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국방부는 당초 3월로 예정됐던 한빛부대 11진, 12진의 교대를 남수단 정부의 요청과 국내외 코로나19 상황 등을 감안해 연기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최 대변인은 남수단 정부의 병력 교대 연기 요청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국제적인 상황이라든가 감염병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당초 지난 9일 현지에 주둔하고 있는 한빛부대 11진을 12진으로 교체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확산됨에 따라 국방부는 한빛부대의 순환배치를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해 왔다. 남수단이 향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입국을 중지해달라고 요청한 만큼 교대 시기 지연은 오래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군 관계자는 “유엔과 외교부 등 다양한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적절한 시점을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빛부대는 2013년 4월 3일부터 유엔 평화유지군 소속으로 남수단 임무단(UNMISS)에 파견됐다. 한빛부대원 300명은 아프리카 동북부 남수단 공화국의 보르(Bor) 지역에서 기지 배수로 구축·방호벽 보강, 도로 개보수, 배수로·쓰레기 매립장 진입로 개선, 공항 개선 작업 등 남수단 재건 작업을 지원하고 있다.

또 이날 주한미군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모든 형태의 장병과 장병가족의 한국 이동을 오는 13일부터 60일간 제한하기로 했다. 주한미군은 “이동 제한에는 부대 배치, 임시 임무, 출장 등 모든 형태의 여행이 포함된다”며 “이동 제한이 주한미군 인원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지휘관의 판단에 따라 이동제한에 예외를 둘 수 있도록 했다.

미 국방부의 장병 이동 제한 지침에 따라 당분간 미 본토 등의 병력이 주한미군에 배치되거나 주한미군 병력이 다른 지역으로 배치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