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계자 김정은 동행할까

후계자 김정은 동행할까

입력 2010-05-03 00:00
업데이트 2010-05-03 1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자책봉 허락’ 모양새…가능성 낮아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이번 중국 방문에서 최대 관심사는 김 위원장의 후계자인 셋째 아들 김정은의 동행 여부다.

 김 위원장 부자의 동행방문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일단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

 김정은이 후계자로 내정된 지 불과 1년4개월 만에, 공식화 단계도 밟지 않은 상황에서 부자가 함께 방중할 경우 자칫 국제사회에 ‘세자 책봉을 윤허 받기 위한 굴욕’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에서 스스로 국가의 자존심을 훼손시키는 모습을 연출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북한 지도부는 국제사회의 제재와 고립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유일한 후원국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에 기대고는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대중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정치.경제적 예속‘을 크게 우려해 경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북소식통은 “김정일.정은 부자의 동행 방중은 청나라 때 세자 책봉 사실을 알리러 가는 것과 비슷한 꼴이 될 수 있는데 가능하겠냐”며 동행 가능성에 회의적인 입장을 밝혔다.

 또 북한은 작년 하반기부터 전 주민을 상대로 김정은에 대한 홍보전을 펴면서도 그의 얼굴을 꽁꽁 감추고 있는 상황에서 주민들에게도 알리지 않고 있는 ‘얼굴 없는 후계자’를 중국 지도부에 먼저 선보이는 것은 북한 내 주민 감정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물론 과거 김 위원장도 1959년과 1965년 김일성 주석의 수행원으로 소련과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적이 있지만, 당시는 김 위원장이 후계자로 결정되기 훨씬 이전으로 신분은 순수하게 지도자의 아들이어서 현재 김정은의 위치와는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

 오히려 김정은의 방중은 김 위원장의 후계자 시절 전례를 밟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김 위원장은 1980년 6차 당대회에서 김 주석의 후계자로 공식 데뷔한 뒤 1983년 2인자인 당 조직.선전비서의 직책을 갖고 후야오방(胡耀邦) 당시 공산당 총서기의 초청을 받아 방중했다.

 김정은도 후계자로 공인받는 절차를 밟은 뒤, 차기 실력자의 이미지와 지위에 걸맞은 직책을 부여받아 첫 외국방문이라는 나름 의미있는 형식을 갖춰 방중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북한은 내부적으로 2012년 당대회를 열어 김정은 후계를 공식화한다는 계획을 세워놓았지만 김 위원장의 건강 상태에 따라 이르면 노동당 창건 65주년인 올해 하반기나 내년으로 앞당긴다는 복안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정은이 김 위원장의 수행원에 끼어 방중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김 위원장의 와병과 사후를 의식해 다급해진 북한 지도부가 일찌감치 김정은 후계체제를 굳히기 위해 중국 지도부와의 ‘친분 쌓기‘를 명분으로 자존심을 버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김정은이 동행하지 않는다면 김 위원장이 이번 방중기간 후계문제를 직.간접적으로 언급할 지 여부도 주목되는 대목이다.

 1982년 김 주석이 후계자였던 김 위원장의 방중에 앞서 베이징을 방문, 중국 지도부에 후계 결정을 통보했던 전례가 있다.

 북한은 현재까지 중국 지도부에게 후계에 대해 공식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당초 북한은 작년 5월 김정은 후견인이라고 할 수 있는 장성택 국방위원 겸 노동당 행정부장의 방중을 통해 은밀히 정은의 후계 내정 사실을 언급하려 했으나 중국 지도부와의 면담은 실현되지 못했고, 그후에는 중국측에 함구로 일관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