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호 송환 계기 남북 화해물꼬?

대승호 송환 계기 남북 화해물꼬?

입력 2010-09-07 00:00
업데이트 2010-09-07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6일 북한의 대승호 송환 소식이 전해지자 통일부 당국자는 이렇게 짤막한 소회를 밝혔다. 추가 논평에 대한 질문에는 말을 아끼면서 “(송환 결정 과정에서)남북 당국간 대화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대승호 송환을 위해 정부가 대가를 지불하지 않았음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이미지 확대
그러나 분위기는 남북 당국간 ‘물밑’ 움직임이 상당히 진행되고 있는 듯하다. 정부는 지난달 8일 대승호가 나포되자 곧바로 전통문을 보내지 않고 기싸움을 벌이다가, 3일 만인 11일 대승호의 조기송환을 촉구하는 통지문을 보냈다. 이에 북한도 반응하지 않다가 19일 대승호 단속 사실을 확인했으며, 정부는 다음날인 20일 2차 전통문을 보냈다.

남북 당국이 대승호를 둘러싸고 실랑이를 벌이는 동안 정부는 북한의 수해 지원에 대한 강경한 태도를 조금씩 누그러뜨렸다. 북한이 국제사회에 구호를 요청한 상황에도 정부 당국자는 “북한의 수해 규모가 예년에 비해 크지 않다.”며 지원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었다가, 지난달 26일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북한에 긴급 구호물자를 보내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북한의 반응이 없자 지난달 31일에는 구호물자 종류 및 규모(100억원)를 구체화해 다시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지난 3일에는 정부 고위당국자가 기자들과 만나 “민간에 의해 긴급구호 성격을 갖는 대북 지원 신청이 있으면 그것이 밀가루든 또는 옥수수나 쌀이든 전향적으로 (허용을) 검토할 생각을 갖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대규모 쌀 지원은 아니지만 민간단체들의 대북 쌀 지원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천안함 사태에 따른 5·24조치로 대북 지원이 막혀버린 상황에서 인도적인 차원의 상황 변화가 감지되는 대목이다.

정부 소식통은 “대승호 송환이 인도적인 접근으로 이뤄진 만큼 수해 지원도 같은 선상에서 추진되는 것”이라면서 “북한이 한적의 구호물자 지원을 수용할지 모르겠지만 대북지원단체의 방북을 허용하면서 긍정적인 분위기가 형성될 것인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북 소식통은 “북측은 노동당 대표자회를 앞두고, 남측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최와 쌀 지원 목소리 등을 고려할 때 남북관계 상황을 안정적으로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며 “대승호 송환이 남북 대화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되는 이유”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그동안 북측의 나포 선박 조사 및 송환이 보통 1개월 정도 걸렸다는 점에서, 북측의 태도가 달라질 것인지는 불투명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0-09-07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