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실패한 듯”

“北,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실패한 듯”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15-11-29 23:28
업데이트 2015-11-30 0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軍, 28일 동해상서 파편 포착

북한이 지난 28일 동해상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시험 발사했으나 실패한 정황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29일 “북한이 28일 오후 2시 이후 동해 잠수함에서 SLBM을 시험 발사한 징후가 포착된 것으로 안다”면서 “SLBM의 캡슐(보호막) 파편이 동해상에서 포착됐다”고 밝혔다. 그는 “미사일이 날아간 것은 식별되지 않고 캡슐 파편만 포착돼 시험 발사한 SLBM이 불발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SLBM은 캡슐 속에 들어 있는 상태로 잠수함에 탑재된다. 잠수함에서 발사 버튼을 누르면 미사일이 든 캡슐이 발사관에서 발사돼 물 위까지 도달한 뒤 캡슐이 열리면서 미사일만 공중으로 솟구친다. 북한은 지난 5월 SLBM 사출시험을 통해 150m 높이까지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

군은 북한의 SLBM 두 번째 시험 발사에서 미사일 등은 수중에서 공중으로 솟구치지 않고 캡슐 파편만 해상으로 떠올라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북한은 1990년대 러시아의 골프급 디젤 잠수함을 수입해 역설계하는 방식으로 신포급(2000t급) 잠수함에 탑재할 SLBM을 20년 가까이 개발해 왔다.

앞서 북한은 지난 11일부터 다음달 초까지 강원도 원산 앞바다 해상에 항행금지구역을 선포해 미사일을 발사할 것으로 예상됐다.

현재 북한의 SLBM 개발 수준은 육상 수직발사대에서 하는 발사관 사출시험 단계와 정박한 잠수함에 발사대를 재장착해 각종 장비와의 연동을 시험하는 연동 단계를 이미 지난 것으로 군은 판단하고 있다.

즉, 물속에 있는 잠수함에서 미사일 보호캡슐을 물 위로 발사하는 사출시험 단계를 넘어 최종적으로는 실제 미사일을 탑재해 가상 표적을 공격하는 실탄 발사훈련만 남겨 두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그러기 위해서는 수십 차례의 수중 사출시험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와 같은 시험 발사를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이 실제 SLBM을 발사할 수 있는 기술까지 도달하는 데는 1~2년이 더 걸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잠수함 전문가인 문근식 한국국방안보포럼 대외협력국장은 “북한이 SLBM을 개발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소형화된 핵탄두를 싣기 위한 것”이라며 “지금은 수중 잠수함에서 SLBM의 캡슐을 사출시켜 수면까지 도달하게 하는 정상적인 시험 단계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일부에서는 다음달 11일로 예정된 남북 차관급 당국 회담을 앞두고 북한이 주도권을 쥐기 위해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남북대화 일정을 고려하지 않고 군사적 능력 확대를 위한 자체 일정에 따라 SLBM 시험 발사를 진행했을 것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5-11-30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