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비리 후폭풍’ 서울 지역교육장 총사임

‘교육비리 후폭풍’ 서울 지역교육장 총사임

입력 2010-02-04 00:00
업데이트 2010-02-04 15: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숙과 자성 뜻… “소나기는 피하자” 의미도 있는 듯

서울시교육청 산하 11개 지역교육장 등 17명의 고위직 간부들이 최근 잇따라 발생한 교육계 비리에 책임을 통감하고 4일 보직사퇴를 결의해 귀추가 주목된다.

 시교육청 간부들이 집단으로 보직 사임 의사를 밝힌 것은 서울교육 역사상 처음이다.

 시내 11개 지역교육청의 교육장을 비롯해 본청 교육정책국장,평생교육국장,연구정보원장,연수원장,과학전시관장,학생교육원장 등 모두 17명은 이날 오전 열린 간부회의에서 보직 사퇴서를 제출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들은 “간부회의에서는 (비리근절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는 이야기가 쏟아졌다.보직 사퇴 결의는 자숙과 자성의 의미를 갖는다”고 전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자정) 결의대회를 갖자’,‘청렴연수를 강화하자’는 등의 의견이 나왔지만,최근 교육 비리가 국민적 관심사가 된 만큼 ‘자진사퇴’라는 고강도 의지를 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강경론’이 우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회의 초반에는 과장급 이상 간부 100명 전원이 사퇴를 결의하자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지만,뒤늦게 부하 직원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중간 간부급들은 사임 대상에서 제외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보직사퇴서를 제출한 간부가 모두 17명이다.보직사퇴 여부는 어디까지나 본인의 자율적 판단에 따른 것이므로 추후 참가자가 더 늘어날 개연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보직사퇴 결의로 3월 정기인사에서는 대규모 쇄신성 ‘물갈이’ 인사가 불가피해졌다.

 그러나 교육계 일각에서는 간부진 전원 보직사퇴라는 초강수를 준비한 고위층이 부하 직원들을 설득하지 못한 채 ‘17명 사퇴 결의’에 그친 것은 일단 소나기는 피해가려는 미봉책이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간부들의 사퇴 결의 배경에는 교육감 권한대행인 김경회 부교육감의 의중이 일부 반영됐다는 추측도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