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맛골 ‘청일집’ 박물관으로 간다

피맛골 ‘청일집’ 박물관으로 간다

입력 2010-02-05 00:00
업데이트 2010-02-0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단하고 답답했던 일상을 시원한 막걸리 한 사발과 푸짐한 녹두빈대떡으로 달래 주던 곳이 있었다.

이미지 확대
65년의 발자취를 남기고 철거될 서울 종로구 피맛골의 청일집에 4일 오후 손님들이 몰리고 있다. 피맛골에서 가장 오래된 식당인 이곳은 재개발로 6일 문을 닫을 예정이다.  김태웅 수습기자 tuu@seoul.co.kr
65년의 발자취를 남기고 철거될 서울 종로구 피맛골의 청일집에 4일 오후 손님들이 몰리고 있다. 피맛골에서 가장 오래된 식당인 이곳은 재개발로 6일 문을 닫을 예정이다.
김태웅 수습기자 tuu@seoul.co.kr


서울 종로 피맛골 선술집 골목에 자리한 ‘청일집’은 그렇게 피맛골의 추억을 대변하는 역사로 자리잡았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을 비롯해 마라토너 손기정씨, 정치인, 언론인, 문인 등 각계 유명인사들이 한 번씩 다녀갈 정도로 유명세도 탔다.

하지만 1945년 광복 직후 문을 연 뒤 피맛골의 선술집 골목에서 가장 오랫동안 영업을 해온 청일집이 이제 피맛골 재개발 사업으로 골목을 떠나게 됐다. 대신 ‘65년의 발자취’는 그대로 남는다.

●정치인·언론인·문인 즐겨찾아

청진옥, 한일관, 열차집, 장원집처럼 추억 속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피맛골’의 청일집으로 영원히 존재하게 된다. 서울역사박물관이 청일집의 물품을 기증받아 영구 보존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4일 서울역사박물관에 따르면 청일집은 5일까지 문을 열고 6일 새 보금자리인 인근 르메이에르 종로타운으로 옮길 예정이다. 낡은 테이블과 막걸리잔, 의자, 탁자 등 기물 일체는 박물관에 전시된다.

청일집이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하기로 한 기물은 손님들이 이용하던 탁자와 의자, 음식 그릇, 메뉴판, 주방 조리도구 등 청일집에 남아 있는 생활재 1000여점이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이곳의 또 다른 명물인 손님들의 벽 낙서도 보존하고자 벽을 통째로 수습해 전시할 계획이다.

정명아 유물관리과장은 “청일집처럼 오랜 역사와 피맛골의 정취를 간직한 집이 없기 때문에 시민들이 이 일대 옛 추억의 흔적을 직접 볼 수 있도록 자료 등을 전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피맛골에서 가장 오래된 선술집

청일집은 박동현씨가 해방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교보문고 뒤편에 세워 피맛골에서 가장 오래된 선술집으로 알려졌다. 지금은 아들인 박정명씨가 물려받아 운영하고 있다. 이곳은 막걸리와 녹두빈대떡, 족발 등이 별미로 종로 인근 직장인들이 퇴근길에 들러 막걸리잔을 부딪치며 애환을 풀어내던 곳으로 유명하다.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피맛골엔 현재 청일집을 비롯해 대림집과 소문난집 등 3곳만 영업을 하고 있는 상태다.

수집된 물품들은 보존 처리를 거쳐 7월 ‘우리들의 종로(가칭)’ 특별전에서 전시된다. 서울역사박물관은 피맛골의 역사를 기록하고자 지난해 8월부터 5개월간 피맛골 일대에 대한 자료조사를 벌였다. 이 조사를 통해 서민들의 추억이 담긴 선술집의 풍경과 음식 등을 조사하고 파노라마 촬영 등을 통해 문화 콘텐츠로 만들어 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10-02-05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