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몰당시 인공폭발 추정 지진파”

“침몰당시 인공폭발 추정 지진파”

입력 2010-04-02 00:00
업데이트 2010-04-02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진전문가 “P파 진폭이 S파보다 커”

천안함 침몰 당시의 지진파를 분석한 결과, 기뢰나 어뢰 등에 의한 인공적인 폭발이 선행된 것으로 조사됐다. 천안함이 암초에 부딪혔거나, 노후화로 파괴됐다는 피로파괴 추정은 근거가 약한 것으로 판명됐다.

천안함 침몰이 어뢰 또는 기뢰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은 천안함이 침몰한 지난달 26일 오후 9시22분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백령도 관측소에서 탐지한 지진파를 분석한 결과 제기됐다. 천안함 침몰 당시 탐지한 지진파에서는 P파가 S파보다 비슷하거나 크게 감지됐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보통 자연적인 지진이 발생하면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P파보다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움직이는 S파가 큰 진폭으로 움직인다.”면서 “천안함 침몰 당시 탐지된 지진파에서는 P파의 진폭이 S파와 같거나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핵실험과 같이 인공적인 폭발이 생겼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시 T파가 함께 감지됐는데 해상지진이나 해상폭발과 같은 환경에서만 나타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 [사진] 실낱같은 희망이라도…천안함 침몰 그후

홍 교수는 “천안함 침몰 당시 관측소에서 파악된 진도 1.5 규모 지진과의 거리를 토대로 폭발량을 계산하면 TNT 178㎏ 정도로, 이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했던 일반적인 폭탄의 파괴력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또 논란이 되고 있는 천안함 침몰 시간과 관련해서는 “지진파를 탐지한 관측소까지의 거리가 8㎞에 불과하기 때문에 침몰 현장에서 관측소까지 지진파가 도달하는 시간은 1~2초에 불과했을 것”이라고 했다. 인공적인 폭발의 경우 외부 폭파 외에 내부 폭발 가능성도 점칠 수 있지만, 천안함이 분리된 단면에서는 내부 폭발 흔적이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4-02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