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장애인의 날] “장애인 이동권은 기본…건물 설계때 도입해야”

[오늘 장애인의 날] “장애인 이동권은 기본…건물 설계때 도입해야”

입력 2010-04-20 00:00
업데이트 2010-04-20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문가 제언

장애인 이동권이라고 해서 사회적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은 아니다. 건물·시설 설계단계에서부터 ‘이동권 개념’만 도입한다면 추가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 장애인이동권연대는 “이동권이야말로 장애인이 사회의 온전한 구성원이 되게 하는 기초 권리”라면서 “건물이 다 들어선 후에 시설을 개선하는 행위가 반복돼 오히려 돈이 더 든다.”고 말했다.

지적인 접근성의 경우 독서장애인 도서관 진흥법안 제정이 가장 시급하다. 국내 시각장애인 수가 30만여명으로 장애인 중 가장 많은 데다 고령화로 노인층 독서장애인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 육근해 한국점자도서관장은 “전국의 점자 도서관 37곳 모두 민간이 운영한다.”면서 “국립 독서장애인도서관 설립 같은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조기기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도 아쉽다. 지난달 23일부터 27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제25회 국제 장애인 정보통신 접근성 및 보조기기 콘퍼런스(CSUN Conference)’는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지만 올해 부스 전시에 참가한 한국 업체는 단 두 곳뿐이었다.

전시에 참여했던 ㈜힘스코리아의 경우 장애인 보조공학계의 ‘삼성’으로 불리며 세계시장에서 시각장애인용 점자정보 단말기를 주도하고 있다. 시각장애인 가수 안드레아 보첼리와 스티비 원더도 사용자다. 윤양택 대표는 “우리나라도 정부가 장애인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을 확대하는 등 지원을 늘려야 이 분야가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장애인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의료보험 적용대상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0-04-20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