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현대화 스트레스 한국인들 자살로 내몬다”

“급격한 현대화 스트레스 한국인들 자살로 내몬다”

입력 2010-04-20 00:00
업데이트 2010-04-20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WP, 하루 35명 목숨끊는 한국 문제점 조명

“급격한 현대화에 따른 스트레스가 한국인들을 자살로 내몰았다.”

미국의 워싱턴포스트(WP)가 18일(현지시간) 한국 사회의 높은 자살률을 분석하는 기사를 비중 있게 게재했다.

WP는 ‘번창한 사회의 우려스러운 경향’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하루 평균 35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를 다각도로 조명했다.

●노 前 대통령·최진실 남매 사진 실어

탤런트 최진실·진영 남매, 노무현 전 대통령, 모델 김다울의 사진이 함께 실린 이 기사는 “한국의 자살률이 지난 10년새 두 배 높아졌다.”면서 다른 부유한 국가들의 자살률이 대부분 1980년대 정점을 찍은 반면 한국의 자살률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강조했다. 한국에서는 2008년 10만명당 26명이 자살해 미국의 2.5배에 이르고 자살이 문화 깊숙이 자리잡은 일본보다도 현저하게 높다고 설명했다. WP는 “발전하기 전 한국의 자살률은 다른 산업국가들과 비교해 가장 낮았다.”면서 한국의 급속한 현대화가 과도한 스트레스를 유발했다고 분석했다. 한국인들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속한 다른 29개국 국민들보다 “더 많이 일하고, 덜 자며, 더 많은 돈을 사설학원에 쓴다.”는 것이다.

●우울증 공개 금기하는 분위기 자살 부추겨

특히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을 공개적으로 인정하는 것을 금기시하는 사회 분위기가 높은 자살률의 원인 중 하나로 꼽혔다. 하규섭 자살방지협회장은 WP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인들은 우울증에 대해 도움을 요청하기를 꺼린다.”고 말했다. 또 이러한 거부가 유가족까지 확대돼 유가족과의 면담이 매우 어렵다고 지적했다.

●유명인 모방자살 문제점으로 지적

신문은 고립감과 질병, 가난으로 인해 증가한 시골 노년층의 자살과 인터넷을 통해 동반 자살하는 20~30대 젊은층의 문제도 언급했다. WP는 또 유명인의 자살로 인한 모방 자살의 증가도 심각하게 바라봤다. 최진실이 자살한 달에 1700여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어 한 달 평균 1000여명이 자살하던 것과 비교해 700여명이나 늘었다고 지적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2010-04-20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