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젖소농가 구제역 ‘양성’···내륙 확산

김포 젖소농가 구제역 ‘양성’···내륙 확산

입력 2010-04-20 00:00
업데이트 2010-04-20 1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천 강화군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경기 김포시로 번졌다.구제역이 결국 육지에 상륙한 것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0일 “전날 의심 신고가 들어온 경기 김포시 월곶면의 젖소에 대해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정밀검사를 벌인 결과 구제역이 맞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확진된 구제역의 혈청형은 강화에서 발병한 것과 똑같은 ‘O형’이다.

 이 농가는 모두 120마리의 젖소를 기르고 있는데 그중 1마리가 전날 의심 증세를 보여 검사를 벌였다.

 이 농가는 구제역이 처음 발병한 강화군 선원면 한우 농가에서 5.3㎞ 떨어진 ‘경계지역(반경 3∼10㎞)’에 해당하는 곳에 있다.이에 따라 반경 3㎞ 이내까지인 ‘위험지역’ 방역망(網)은 뚫린 셈이 됐다.

 김포 구제역은 또 그간 섬인 강화도 안에서만 맴돌던 구제역이 바다를 건너 내륙으로 진출했다는 뜻도 담고 있다.

 그러나 가축방역 당국의 확인 결과 김포의 농장은 기존에 구제역이 발병한 농장들과 역학적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수의사의 진료나 사료차량.약품차량의 방문,송아지 거래 등으로 인한 교류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구제역이 어디로,어떻게 번져나갈지 예측하고 차단하는 작업은 애로를 겪을 전망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8일부터 인천 강화 일대에 대해 차단방역 조치에 나섰는데 이미 구제역이 그 일대에 만연해 있던 점으로 미뤄 그전에 구제역이 번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구제역 확진 판정에 따라 이 농장과 그 주변 500m 안에 있는 모든 우제류(구제역에 걸리는 발굽이 2개인 동물) 농장에 대해 예방적 살처분 조치에 들어갔다.

 또 이번 구제역 발병 농장과 역학적 관련성이 있는 농가를 찾아 집중 예찰.관리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아울러 이날 오전 중 가축방역협의회를 열어 예방적 살처분 범위를 주변 반경 500m에서 3㎞로 넓히느 방안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